[금융권, 인력구조 개편] 관리인력 다이어트…‘S라인’ 조직 만든다

입력 2014-05-1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관리자급 인사적체 ‘허리비만’ 심각

‘신이 내린 직장’의 대명사 금융권 인력이 줄고 있다.

저금리·저성장으로 업황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구조조정 한파가 몰아닥쳤기 때문이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도입한 IT기기들이 창구·상담 직원들의 일을 대신하면서 신규 채용마저 뚝 끊겼다. 영업환경은 ‘스마트’해졌는데 인력구조는 ‘아날로그‘ 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인사 적체가 심해진다는 것은 그만큼 유휴 인력이 많다는 얘기다. 가뜩이나 험난한 ‘보릿고개’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인력 평균 연령이 높은 은행업의 경우 ‘2명 중 1명은 관리자, 1명은 실무자’란 말이 나올 정도다.

인사권을 쥐고 있는 수장들은 고민이 깊어졌다. 일단 해결책은 ‘영업’으로 정했다. 우선 수익을 안정권으로 끌어올리는 게 시급하다는 생각에서다.

올해 1분기 국내 은행의 당기 순이익은 1조3000억원에 그쳤다. 전년 대비 4000억원(25.3%)이나 줄어든 것이다. 총자산순이익률(ROA)과 자기자본순이익률(ROE)도 각각 3.58%, 0.28%까지 밀려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56개 보험사의 순익도 전년보다 14% 줄었다.

발등의 불부터 끄는 게 시급하단 얘기다. 이를 위해 은행업권은 본부에 있던 주요 부서장들을 주요 지점에 전면 배치했다.‘본점=능력’으로 통용되던 업계에서는 이례적 인사다. 육아 휴직으로 쉬고 있던 경력단절 여성들에게도 기회를 주고 희망 퇴직자들에게도 시간제로 일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줬다.

보험업계는 실전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세일즈 집중 교육을 통해 1인당 생산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이같은 인력구조는 변화하는 금융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결국엔 도태될 수밖에 없다.

현재 한국은 고령화로 인해 노령층을 중심으로 미래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금융자산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실제 2002년에는 예금과 현금 비중이 54%였는데, 2012년에는 45%로 약 9%포인트 줄었다. 반면 보험과 연금의 비중은 점차 확대돼 같은 기간 21%에서 27%까지 6%포인트 늘어났다.

금융자산의 수요 변화를 감안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정부와 금융기관이 공동으로 금융인력의 학력, 경력 등에 대한 정보와 전문인력의 수급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업권별 인력 과부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금융기관은 교육투자를 경영여건에 따라 절감이 가능한 비용이 아니라 금융업의 지속가능한 장기 성장의 원천인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