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PC업체 부활 날개짓… 매출상승·중기 성장기반 마련 ‘쌍끌이’

입력 2014-04-18 17: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의 '중소기업간 경쟁제품' 지정 효과로 국내 중소 PC 제조 업계에 훈풍이 불고 있다.

지난해 중소기업청은 공공부문에서 대기업 참여를 제한하고, 중소기업 참여를 늘리기 위해 데스크톱 PC 등 총 202개 품목을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제조 데스크톱 PC가 정부조달 물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할 수 있게 됐고 국내 중소 PC 제조 업체들의 매출에 탄력이 붙었다.

실제로 지난 2013년 공공기관에서 조달청의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을 통한 중소기업 PC를 구매한 금액은 총 1745억원으로 2012년 998억원보다 70% 이상 늘었다.

이에 PC제조 중소기업들의 경영여건이 개선되면서 고용이 확대되고 공장 가동률도 증가했다. 사단법인 정부조달컴퓨터협회에 따르면 11개 중소기업의 평균 고용인력은 2012년 751명에서 지난해 897명으로 19.4% 고용이 늘어났다. 평균 공장 가동률 또한 2012년 62%에서 지난해 71%로 9.1% 포인트 상승했다.

또 중소기업간 경쟁제품 지정이 중소기업들의 활력 모색에도 큰 힘이 됐다고 업계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정부조달컴퓨터협회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관련된 150여 개 부품중소기업도 중소기업간 경쟁제품 선정을 통해 동반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메인보드, CPU, 파워, 박스, 포장재와 같은 데스크톱 PC에 들어가는 모든 원자재 생산을 담당하는 중소기업들도 중기간 경쟁제품 지정 후 수익 및 지위가 향상됐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지정으로 협력사들(OEM 업체)의 부담이 더욱 가중된다는 불만도 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조달컴퓨터협회 측은 “일부 대기업 관련 OEM·부품 중소기업의 매출감소, 일자리 감소 주장이 마치 중소 PC업계의 전체적인 문제로 야기되는 것은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