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원 등에 인신보호관제 도입…강제수용 막는다

입력 2014-04-08 08: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신병원과 장애인 시설, 노인 요양원 등 수용시설에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강제수용됐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인신보호관제’가 도입될 전망이다.

정부는 8일 오전 서울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인신보호법 일부 개정안을 의결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법무부 소속 인신보호관은 정신병원 등 수용시설에 피수용자가 부당한 수용됐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수용시설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구제청구’ 관련 정보를 고지받았는지 등을 조사하게 된다. 인신보호관은 필요하면 피수용자와의 면담이나 관련 자료를 제출하도록 시설 운영자 등에게 요청할 수 있고 억울하게 수용된 사람을 발견해 법원에 구제를 청구해주도록 검사에게 신청할 수 있다.

개정안은 또 시설운영자가‘피수용자가 지정하는 배우자, 법정대리인, 직계혈족 등도 구제청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들 배우자 등에게 직접 알리도록 했다. 시설운영자 등이 피수용자에 대한 구제청구서를 받은 후에는 피수용자를 다른 시설로 이송할 때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아울러 개정안은 인신보호관의 수용시설 점검 및 관련 요구를 거부·방해하거나 법원 허가 없이 수용된 사람을 다른 시설로 이송한 자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도 담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