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와 힐링]못생긴 과일의 대명사 '모과나무'

입력 2014-03-24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광만의 나무 이야기

모과나무의 종소명 시넨시스(sinensis)는 중국이 원산지임을 나타내며, 중국에서는 2000년 전부터 열매를 약제로 사용했다. 모과나무가 우리나라에서 과수로 식재된 기록으로는 조선시대 광해조 때 허균이 쓴 ‘도문대작(屠門大嚼)’에 예천에서 생산되는 맛있고 배같이 즙을 많은 과일로 소개돼 있다. 당시의 모과는 맛있는 과일로 소개되고 있지만 사실 모과는 과일이면서도 과육이 석세포로 돼 있어 생식을 할 수 없다는 이유로 과일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모과의 향기만은 어느 과일이나 꽃에 비길 데 없이 좋아서, 예로부터 풍류를 즐기는 선비의 문갑 위에 한자리를 차지하기도 했다. 지금도 모과가 나오는 철이면 승용차 안의 방향제 역할을 하고 있다.

사람들은 모과를 보고 세 번 놀란다고 한다. 먼저 못생긴 열매를 보고 한 번 놀라고, 그 다음에 향기로운 향에 한 번 더 놀라고, 마지막으로 열매의 떫은맛에 깜짝 놀란다고 한다.

모과란 이름은 중국 이름 목과(木瓜)가 발음하기 편한 모과(木瓜)로 변한 것으로, 나무[木]에 참외같은 열매[瓜]가 달린다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 하지만 매끈하게 잘생긴 참외와는 달리 울퉁불퉁하고 못생긴 과일로 이름이 나 있다. 그래서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는 말이 생겼고, 못생긴 사람을 가리켜 ‘모과같이 생겼다’고 한다.

10월 노랗게 익는 모과는 향기는 좋지만 과육이 딱딱하고 신맛이 강해 생으로 먹을 수는 없다. 차, 잼, 과일주로 만들어 먹는데 기침과 가래를 삭이는 데는 모과차를 최고로 친다. 또 감기,천식,토사,곽난,각기 등에 효과가 좋은 민간 약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 나무의 재질이 붉고 치밀하며 광택이 나기 때문에 고급 가구재로 사용됐다. 모과나무로 만든 장롱을 화류장(樺榴欌)이라 해, 자단(紫檀), 화류(樺榴) 등으로 만든 진품 화류장의 모조품으로 화류장 구실을 했다. 놀부가 흥부 집에 가서 얻어가는 화초장도 바로 이 모과나무로 만든 장롱이다.

연분홍색의 아름다운 꽃과 나무가 오래될수록 껍질이 비늘 조각처럼 벗겨지는 수피도 운치가 있기 때문에 예전부터 정자목으로 많이 활용됐다. 청원 연제리의 천연기념물 제522호 모과나무를 비롯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모과나무인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용수리에 있는 수령 1000년을 헤아리는 노거수 등 보호수로 지정된 것도 20여 그루에 이른다. 이러한 모과나무가 최근 조경수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조상들이 남겨준 노거수들이 수난을 겪고 있다고 한다. 못생겨서 비난받고, 잘생겨서 수난받는 모과나무의 불편한 진실이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