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 미국 신용등급 전망 상향에 신평사 신뢰성 의문

입력 2014-03-22 08: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S&P, 미국 등급 강등 이유 근거없어”

피치가 미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 신용평가사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피치는 21일(현지시간) 미국의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대상’에서 제외하고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지난 2011년 다른 신평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 트리플A 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지적했던 경제와 정치적인 암울함은 근거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22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무디스는 물론 미국 등급을 ‘AA+’로 강등해 당시 세계 금융시장에 큰 혼란을 불러일으켰던 S&P조차도 미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현재 ‘안정적’으로 놓고 있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당시 S&P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글로벌 증시에서 6조1000억 달러(약 6588조원)가 증발했다.

그러나 S&P의 비관적 전망과 달리 2011년 8월 강등 이후 미국의 기록적인 재정적자는 급감했고 경제성장은 가속화했다. 달러 가치는 오르고 증시는 사상최고치 행진을 이어갔으며 미국 국채의 안전자산 지위도 흔들러지 않았다.

미국의 올해 재정적자는 5140억 달러로 지난해의 6800억 달러에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전망했다.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3.0%로 2009년의 9.8%에서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아울러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지난 40년 평균치에 근접할 것이라고 CBO는 덧붙였다.

투자자들도 신평사의 신용등급 결정을 무시하고 있다는 평가다. 블룸버그가 지난 1970년대 이후 이뤄진 314개의 신용등급 강등과 상향, 전망 변화 등을 조사한 결과 신평사들의 등급 조정에 따른 예상과 국채 금리가 다르게 움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S&P가 2011년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했을 때도 국채 금리가 오르기는커녕 수요가 늘면서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투자자들이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국에 대한 신뢰를 지속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