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새정치, 지도부까지 5대5 한다는데… 곳곳서 갈등 표출

입력 2014-03-04 08: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전격적으로 창당에 합의했지만 ‘5대 5 지분’ 구도를 놓고 곳곳에서 갈등을 표출하고 있다.

양측은 창당 작업 추진단에 3대 3, 신당 발기인도 50대 50으로 수적 균형을 맞췄다. 그러나 현역의원 126석을 지닌 민주당과 2석 뿐인 새정치연합의 차이가 월등해 합의가 순조롭게 이행될 지 미지수라는 반응이 나온다.

실제 민주당 일각에선 “의석수를 무시 못 한다”며 자당이 더 많은 지분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반면 새정치연합 측에선 “민주당이 합당 때 기득권 포기를 약속했다”며 비율 고수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4일 “민주당 내부에서 반발이 많다. 의석수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인데, 다소 진통은 있겠으나 협의 과정에서 조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효석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은 이날 라디오방송에서 “5대 5라는 개념은 물론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50% 기득권을 내려놓겠다’고 한 것은 참 어려운 결정이라고 본다”면서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이 살아계실 때도 민주당이 거듭 나려면 기득권을 절반 이상을 내려 놓으라고 말씀을 여러 번 하신 적이 있다”며 민주당에 원칙 이행을 촉구했다. 이계안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저희가 합의한 5대5 구조를 어떻게 충실히 (이행)할지 내부적으로 고심하고 있다”고 했다.

창당 후 이어지는 지방선거와 7월 재보선 등 정치 일정을 감안하면 신당 지도체제 및 공천 등에서 126석대 2석이라는 ‘현실적 격차’와 5:5라는 ‘당초 합의’를 두고 양측의 충돌이 불가피할 거란 전망이다.

특히 지방선거 공천 룰을 두고 양측 간 치열한 수싸움이 벌어질 전망이다. 조직과 세력 면에 불리한 새정치연합 측은 ‘100%완전국민경선제’나 특정 지역의 지분 배정을 선호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 후보들은 당원들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경선실시를 주장할 가능성이 크다.

신당의 노선과 당명, 당헌·당규 등을 놓고도 팽팽한 기싸움이 예고된다. 일단 양측은 통합 합의에서 ‘경제민주화’등 신당 지향점을 제시했지만, 이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노선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19대 총선에서 친노무현계 인사들이 공천을 받아 민주당 내 과반을 점한 상황에서 안철수 무소속 의원 측과 ‘화학적인 결합’에 성공할 수 있을지도 관심을 모은다.

아울러 이달 말로 예정된 신당 창당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를 선출할 경우 당권 갈등이 불거질 공산도 크다. 당 관계자는 “창당 시기에 맞춰 새 대표 체제로 지방선거를 치르게 될 것 같다. 대표 선출 방식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