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전염병 막기 위한 무차별 대량 살처분은 비과학적 대응”

입력 2014-03-03 10: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희종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같은 가축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무차별적 살처분은 지극히 비과학적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우희종<사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는 지난달 28일 서울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대한불교조계종이 주최한 ‘AI와 살처분’ 포럼에서 이 같이 지적했다.

우 교수는 “복합적 판단 없이 과학적이란 명분으로 획일적으로 살처분하는 것은 과학주의에 근거한 지극히 비과학적 자세”라고 비판했다.

그는 “현재 대량 살처분의 근저에는 생산성과 이윤 증대를 최우선으로 하는 신자유주의적 접근과 이른바 ‘예방적 살처분’ 정책의 무분별한 적용이 있다”며 “반복되는 대량 살처분 사태를 단순히 법령 개선이나 정책만의 문제로 접근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병의 발생 원인을 둘러싼 논란보다는 발생이 쉽게 일어나고 확산을 조장하는 요소에 대한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우 교수의 지적이다.

우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AI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이번 AI 사태에서도 정부는 국제기구의 분석을 무시하면서 철새가 원인이라며 대책을 세웠지만 사실은 공장식 밀집사육 문제 등 실질적 요인에 대한 고민이 필요했다”고 밝혔다.그는 현행 방역 체계와 관련해서는 방역 정책 마련과 방역 조치 시행, 사후 검증을 모두 농수산식품부가 맡는 것은 선수가 심판까지 맡는 셈이어서 질병 원인 분석, 정책 수립, 방역대책 사후 평가가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이뤄지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즉, 방역 실행 주체와 평가 기구를 분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 교수는 “대량 살처분은 종합적 분석과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적절한 지점에서 입장을 결정해야 한다”면서 “건강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전환 없이는 지금 같은 대량 매몰 사태는 개선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