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한일 전기강판 특허분쟁 승리

입력 2014-02-18 10: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특허청, 신일철주금 특허 4건 모두 무효 결정

포스코는 한국특허청이 신일철주금의 방향성 전기강판 관련 특허에 관한 무효결정을 내림에 따라 신일철주금(옛 신일본제철)과 진행 중인 특허분쟁에서 이겼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17일 한국특허청은 한국등록특허 제0442101호 등 신일철주금의 특허 4건에 대한 무효심판 결과 “특허 4건의 38개 청구항 모두가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해 무효”라는 결정을 내렸다.

방향성 전기강판이란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고성능 강판이다. 전기차, 하이브리드카, 신재생에너지 소재 등에 쓰이면서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각광받는 미래 철강소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번에 무효가 된 특허 4건은 각각 방향성 전기강판의 소재가 되는 강판을 가열하는 속도, 강판의 소둔(열처리)온도, 강판내 산소량 및 강판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출력에 관한 것이다.

이번 분쟁은 지난 2012년 4월 신일철주금이 포스코의 방향성 전기강판 판매가 늘어나자 미국에서 포스코가 자사의 특허를 침해했다는 소송을 제기한 데서 비롯됐다. 포스코는 미국과 한국에서 해당특허 4건에 대해 침해가 아니고 특허자체가 원천적으로 무효임을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신일철주금은 미국특허청의 무효결정을 막기 위해 기존 4건 31개 청구항으로 돼 있던 특허를 115개로 세분화해 대응했으나 미국특허청은 115개 청구항 중 핵심적 109개에 대해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해 무효사유가 있다”는 취지의 중간결정을 내린 바 있다.

포스코는 한국특허청이 미국특허청과 같은 취지의 무효 결정을 먼저 내리면서 “포스코가 자사의 핵심기술을 사용해 특허침해를 했다”는 신일철주금의 주장에 일단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 내 특허침해 금지소송에서도 설득력이 약해지면서, 앞으로 신일철주금이 해당 특허들을 이용해 포스코 제품의 생산금지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도 사실상 어려워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