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ㆍ브라질, 외부 변수에 가장 취약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는 한국이 주요 신흥국 가운데 재정, 물가, 부채 등의 측면에서 가장 견고한 경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11일(현지시간) 의회에 제출한 금융정책보고서에서 15개 신흥경제국을 대상으로 산정한 ‘취약성지수’에서 한국과 대만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했다.
취약성지수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과 국가부채 비율, 물가상승률, GDP대비 외화보유액 등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산정됐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외부 변수에 따른 경제 취약성이 큰 것으로 평가한다.
한국과 대만은 5.0 이하를 기록했고 중국과 말레이시아, 멕시코 등은 5.0~10.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터키와 브라질 등은 10.0을 넘어 외부 변수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한국은 지난해 4월 말부터 지난 6일까지 미국 달러화 대비 환율 상승률이 5% 미만에 그쳐 연준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등에 따른 신흥시장의 불안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준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신흥시장의 금융상황 악화는 국가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면서 “이들 국가에서 나타난 자산 매도 현상은 일정부분 같은 요인에 의한 것이지만 상당수 투자자가 국가별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이날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연준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신흥국 위기 등이 미국의 경제 전망에 심각한 위험을 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