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아무도 모른 대출사기]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 피해 또 있나

입력 2014-02-07 10:36수정 2014-02-07 13: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감원, 全금융권 운영실태 긴급 점검…대기업 맹신 대출 관행 개선 주문

금융당국이 수천억원의 대출사기 피해를 야기한 금융권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외담대) 운영 실태에 대한 긴급 점검에 착수한다. 사기대출이 수년간 지속돼 온 만큼 또 다른 피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검사 확대로 피해 금융사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등 전 금융권의 외담대 실태를 점검하고 대기업을 맹신하는 금융권의 대출 관행 개선을 강력히 주문할 방침이다.

전일 KT 자회사인 KT ENS 직원과 협력업체 대표 등이 수년간 허위 외담대 발행을 통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으로부터 수천억원의 사기대출을 받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외담대란 대기업(구매기업)이 협력 중소기업(판매기업)에 물품대금을 외상매출채권으로 지급하고 중소기업은 이를 담보로 은행에 돈을 빌리는 제도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구매기업이 대출금을 은행에 대신 상환한다.

현재 금감원이 추산한 대출사기 금액은 약 2800억원이다. 하나은행이 1624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농협은행 189억원, KB국민은행 188억원 등으로 시중은행의 피해 금액은 2001억원이다. 저축은행은 BS저축은행이 234억원으로 피해 규모가 가장 컸으며 OBS저축은행, 현대저축은행, 인천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아산저축은행, 민국저축은행, 공평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등 총 10곳의 저축은행이 800억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검사 초기 단계인 만큼 추가 피해 가능성이 커 앞으로 피해 금융사 및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금융당국은 이번에 피해를 본 시중·지방은행을 포함한 은행권과 증권사 등 전 금융권의 외담대 실태를 점검키로 했다. 저축은행, 증권사 등 2금융권에 대해서는 우선 자체 점검을 실시토록 하고 문제가 있는 금융사는 직접 검사를 실시한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피해 여부 점검과 함께 금융권에 대기업 관련 대출의 점검 및 관행 개선을 요구할 방침이다. 대기업이란 브랜드를 과도하게 믿고 대출 심사를 소홀히 하는 등의 관행을 바로잡기 위해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