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첫 장관 해임…인사쇄신 신호탄 될까

입력 2014-02-07 08: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례적인 깜짝 경질, 박 대통령의 국정쇄신 의지 반영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을 전격 경질함에 따라 ‘전면 개각론’의 불씨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윤 장관이 ‘설화(舌禍)’로 ‘레드카드’를 받은 것은 어떤 각료든 적절치 못한 언행으로 물의를 빚어 국민에게 상처를 준다면 해임될 수 있다는 일종의 경고이기 때문이다.

국무총리 해임 건의 두시간여만에 이뤄진 이례적인 깜짝 경질에 현오석 경제부총리의 거취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장관의 해임이 신호탄이 돼 개각이 급물살을 탈 수 있어서다. 앞서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태와 관련해 “어리석은 사람이 일이 터지면 책임을 따진다”며 국민에게 책임이 있는 듯한 발언으로 국민들의 공분을 사면서 정치권으로부터 개각 요구가 나온 바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이 새 정부 첫 ‘장관 경질’이라는 초강수를 뒀다는 점에서 공직기강 다잡기 차원에서 연이어 고강도의 인적쇄신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집권 2년차를 맞아 국정운영의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선 일부 장관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성남 민심을 신속히 진화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여야의 질타와 여론 악화에 속전속결로 해임을 결정한 것도 그만큼 여론을 의식했다는 뜻이다. 부처의 한 관계자도 “자진사퇴가 아닌 경질은 국민의 뜻을 충분히 수용하겠다는 뜻 아니냐”고 분석했다.

부처별 업무보고를 계기로 국민이 정책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만큼 국정수행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 각료라면 교체 명분도 충분하다는 점에서도 개각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그동안 “개각은 없다”고 밝혀 온 청와대의 입장에도 변화의 조짐이 생길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온다.

하지만 정치권과 관가 일각에서는 이번 윤 장관의 경질이 ‘원포인트 개각’으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최근 일부 경제팀 수장들이 업무수행이나 위기관리 등에서 부족한 면모를 보이고 민심을 자극하는 실언으로 논란을 일으키면서 개각설이 다시 피어오르자 이를 차단할 ‘희생양’이 필요했고 현오석 부총리, 신제윤 금융위원장 등을 대신해 일명 ‘꼬리자르기’ 한 것 아니겠냐는 것이다. 시기적으로도 6월 지방선거, 7월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당분간 큰 폭의 개각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