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3년 내 민심회복 못하면 당도 나라도 망해”

입력 2014-02-05 14: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취임 후 강력한 반(反)부패 정책을 펴는 이유는 장쩌민, 후진타오 등 전임 지도자와의 사전 합의에 따른 것이라고 5일(현지시간) 중국시보가 보도했다.

중국시보는 시진핑 지도부의 반부패 정책이 2012년 8월 개최된 중국 국가 수뇌부 연례 회의인 베이다이허 회의에서 비롯됐다고 전했다.

당시 국가부주석이자 차기 지도자로 이미 내정된 시 주석은 이 회의에서 “중국이 당면한 내우외환의 상황이 1948년 국민당 시절과 너무나 흡사하다”면서 민심 이반 문제를 제기했다.

시 주석은 “가장 아픈 급소는 민심을 잃는 것”이라며 “민심을 잃으면 언제든 중국판 ‘재스민 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중국시보는 전했다.

1940년대 말 국민당 정권은 권력층의 극심한 부패로 민심을 잃으면서 국공 내전에서 패해 대만으로 거점을 옮겼다.

특히 시 주석은 “3년 내에 민심을 수습하지 못하면 10년 내에 당도 국가도 모두 망할 수 있다”는 비장한 각오와 함께 부패 척결을 위한 시간표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의 이 같은 결연한 의지 표명은 중국 공산당 내 위기 의식과 관련이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창당 90여 년 만에 당원 수가 80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빈부격차와 지역 간 격차가 커지고 당 간부급 인사들의 부패 문제가 수시로 불거지면서 국민의 분노가 이미 임계점에 다다랐다는 지적이다.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민의에 의해 개혁을 요구받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이 시진핑 지도부의 상황인식으로 보인다고 대만 언론들은 분석했다.

시진핑은 2012년 11월 공산당 총서기로 취임한 이후 “호랑이에서 파리에 이르기까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부패와의 전면전으로 한꺼번에 척결해야 한다”며 대대적인 개혁을 의미하는 정풍 운동’을 펼쳤다.

대만 언론들은 이에 대해 집권 초기 일회성 정치 이벤트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으나 시진핑 정부가 집권 2년차를 맞으면서 이런 시각이 자취를 감추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