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황정임 연구사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어촌 주민들이 생활실태와 실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로 활용 가능한 농촌생활지표를 조사하는 데 열정을 쏟고 있다.
그는 지난 2010년부터 농진청에서 농촌생활지표 조사 담당을 맡으면서 농어촌 복지 향상을 위해 농촌 생활과 관련된 여러 실태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해 통계화하고 있다.
황 연구사는 “농촌의 복지 사각지대를 기존의 통계로 파악하기에는 취약한 부분이 많아 전문가들과 학계의 도움을 받아 농촌 생활실태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항목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며 “농촌생활지표에 근거해 관련 부처의 정책 수립이나 농촌연구자들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때 보람을 느낀다”고 귀띔했다.
농촌생활지표는 정부 승인 통계로 농진청이 지난 2000년부터 우리나라 농어촌지역 삶의 질 현황을 파악해 정책이나 지도사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농촌생활지표 종합조사는 5년에 한 번씩 조사하면서 매년 부문별로 나눠 조사해 오던 것을 올해부터 매년 조사로 바뀌어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황 연구사는 올해 보건의료, 복지, 교육, 문화·여가 여건, 기초생활 여건, 환경·경관, 지역 역량, 경제활동 등 8개 부문 87개 항목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대상은 농어촌 2810가구와 비교 대상인 도시 1200가구 등 전국 4010가구이며 직접 방문해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황 연구사는 “기존 조사 결과를 보면 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젊은 세대가 정착할 수 있도록 교육 서비스 질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노후주택 개량과 보수, 에너지 문제 해결이 농촌 주민들이 가장 요구하는 정책”이라고 말했다.
그가 농촌생활지표 조사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항목 개발이다. 보통 항목개발을 하는 데 3~4개월이 걸릴 정도로 힘든 작업이라고 한다.
농가 경영승계와 관련해 황 연구사는 “농가 경영승계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은 후계자 교육 시스템이 잘 갖춰지지 않아 아버지 세대의 경험을 물려주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후계자 맞춤 교육이 필요해 이런 부분의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황 연구사는 “미국의 농촌복지 수준 평가지표와 평가시스템 구축을 바탕으로 농촌 주민의 실생활 지표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항목개발과 신뢰성 있는 지표를 만들어 정책에 잘 반영토록 하는 것이 현재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