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파업 '장기화 국면'…경찰 강제진입에 노동계 '총파업' 응수

입력 2013-12-23 11: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철도노조 파업 장기화

(사진=연합뉴스)

철도노조 파업이 우려했던 대로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 전망이다.

22일 경찰이 사상 처음으로 서울 민주노총 본부에 공권력을 투입,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에 나섰지만 검거에 실패하면서 민주노총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철도노조 파업의 구심점을 약화시키기 위해 노조 지도부 검거에 나섰지만 '무리수였다'는 반대 여론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은 전날 오전 10시께 경찰 65개 중대 총 4000여 명을 투입,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 건물에 있는 민주노총을 강제로 진입했다. 이 건물 14~16층에 위치한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이 자리하고 있다. 1995년 민주노총 설립 이후 공권력 투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주노총 측은 경찰의 진입을 막기 위해 저항했다. 경찰은 최루액 등을 사용하며 건물 1층 유리문을 무수고 진입했다. 그러나 12시간의 대치가 이뤄졌지만 철도노조 지도부 검거에는 실패했다. 경찰 진입을 사전에 파악한 철도노조측은 이날 새벽 민주노총 본부를 빠져나간 것으로 전해진다.

경찰은 진입과정에서 물리적으로 충돌한 노조원 138명을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연행했다.

경찰 진입 이후 민주노총과 시민단체는 대정부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이날 정부는 호소문을 통해 '철도 파업은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불법 파업'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나섰다. 동시에 노동계와 정부의 갈등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 전망이다.

정부는 철도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기관사와 승무원 등 총 500명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역시 대대적인 총파업을 결의하는 등 노동계와 정부 사이에 감정의 골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철도민영화 저지 부산시민대책위도 "민영화가 아니라면서 굳이 자회사를 설립하는 정부와 코레일의 논리적인 모순을 아는 국민들이 이해하는 한 이번 파업은 '국민의 명령으로 수행되는 정당한 투쟁'이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