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한국 - 김나은 국제경제부 기자

입력 2013-11-28 11: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과 일본의 자존심 싸움이 점입가경이다.

작은 열도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를 두고 벌이는 영토분쟁에서 시작된 두 나라의 신경전은 이제 전 세계가 우려할 만큼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양상이다.

대결의 시작은 지난해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은 지난해 9월 댜오위다오 열도 내 3개의 섬을 개인소유자로부터 20억5000만 엔에 사들여 국유화했다. 중국은 이 같은 결정에 즉각 반발하며 중국 해군 선박을 댜오위다오에 배치하는 등 해상에서 일본과 신경전을 벌였다.

양국간 해상대결은 지난 주말 중국의‘역공’으로 하늘 위로 무대를 옮겼다.

중국 정부가 동중국해 상공에 방공식별구역을 새로 설정하면서 국제적인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방공식별구역은 군사·안보 목적으로 영공 외곽 일정 지역 상공에 설정하는 공중 구역으로 다른 나라의 방공식별 구역에 사전통보 없이 진입하면 해당 국가가 방어조치를 취할 수 있다.

양국의 공중 대결은 사실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일본이 센카쿠 국유화 선언 1주년을 앞둔 지난 9월 초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으로 추정되는 무인항공기가 일본의 방공식별 구역에 진입하자 자위대 전투기들이 긴급 발진하기도 했다.

문제는 일본을 겨냥한 중국의 새로운 군사적 압박 조치가 느닷없이 한국과 미국 등 주변국으로 불똥이 튀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의 새 방공식별구역에 주일 미군이 사용하는 공중 훈련장과 폭격장 등 3곳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자 미국은 글로벌 패권을 쥔 나라답게 중국에 사전통보를 거부하면서 “불필요한 선동적 행위”라며 강력히 항의했다. 우리 정부도 논란의 대상에 이어도가 포함됐다는 사실에 대응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고래싸움에 새우 등 터질’ 우려에 강력 대응은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다.

냉철하게 사태를 파악하고 우리에게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외교적 역량이 절실할 때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