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트윗 120만건 추가발견…여야 “억지로 불린것” vs “조직적 개입”

입력 2013-11-22 10: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검찰이 지난 21일 2차 공소장 변경을 통해 국가정보원 직원이 게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트윗 121만여건을 추가 발견했다는 혐의를 추가한 것과 관련해 여야가 팽팽히 맞섰다.

새누리당은 “스스로 잘못을 철회하면서 양만 억지로 불린 것”이라며 사안의 확대되는 것을 막아선 반면, 민주당은 “권력 정점에서 개입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강하게 몰아세웠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22일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1차 공소장의 증거로 제시된 5만5천건 중 2만7천여 건의 증거는 검찰이 스스로 '잘못됐다. 엉터리이다.' 하고 철회하면서 나머지 2만8000여건에 대해 단순히 봇(bot) 프로그램인가 하는 것으로 기계적 리트윗한 것을 포함해 그 양을 억지로 43배까지 불려서 발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대표는 “그 결과도 만족하지 못하겠다는 것인지, 민주당은 여전히 특검을 요구하며 대선 결과 흔들기를 계속하고 있다”면서 “수사 결과를 발표할 때마다 사사건건 정치권에서 왈가왈부한다면 포청천이 와도 수사 결과는 정쟁거리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제 먹고사는 문제와 아무 관련 없는 국정원 댓글 사건은 사법부에 맡겨두고 최소 연말까지라도 국회 본연의 임무인 법안과 예산 처리로 되돌아갈 것을 간곡히 부탁한다”고 요청했다.

민주당은 검찰의 공소장 변경안과 함께 변경 과정에서 수사 방해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정부와 여당을 상대로 특별검사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국정원 등 국가기관이 (대선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것은 이명박 정부와 새누리당이 집권연장을 도모한 사건”이라면서 “권력 정점에서 개입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수사 대상인 새누리당이 특검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도려낼 부분을 도려내고 가지 않으면 정권 내내 지난 대선에 발목 잡혀 꼼짝달싹 못하는 것은 더 큰 일이라는 것을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박 대통령께서도 ‘내가 댓글 때문에 대통령에 당선됐다고 생각하느냐’고 묻기에도 망설여질 것”이라며 “대통령이 이해당사자인 만큼 행정부에 속한 검찰이 수사를 맡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 특검이 정답”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번 검찰 공소장 변경 신청 과정에서도 법무부와 검찰 지휘부의 수사 방해가 심각했다고 한다”며 황교안 법무장관을 해임할 것을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