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 배우는 몽골인 오르수씨 “한국·몽골 문화교류에 기여하고 싶어”

입력 2013-10-30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09년 전통악기 배우며 인연

▲아마르자르갈 오르수 씨는 한국과 몽골의 문화예술교류에 기여하고 싶다는 계획을 밝혔다.(사진=연합뉴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대학원) 과정에서 한국 전통악기 해금을 배우고 있는 몽골인 아마르자르갈 오르수(29·사진)씨는 “한국과 몽골은 같으면서도 다른 점이 많은 나라다. 졸업 후에도 두 나라를 오가며 연주활동을 하면서 문화예술 교류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아마르자르갈씨는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동반자(CPI) 프로그램으로 6개월간 국립국장에서 우리 전통악기를 배우며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이듬해인 2010년 경기도 남양주시가 몽골 울란바토르시와 협의해 몽골 예술인 30명을 초청할 때 초청인에 포함돼 남양주 ‘몽골문화촌’에 9개월간 머물면서 연주활동을 했다.

아마르자르갈씨는 “CPI 프로그램으로 왔을 때 한국도 몽골이나 중국, 베트남처럼 5음계지만 장단과 리듬이 아주 독특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연주여행을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면서 한국 유학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그는 몽골로 돌아간 뒤에도 혼자서 우리말을 익혔고 한국으로 유학 올 기회를 찾다 2011년 12월 한국정부가 지원하는 한예종 유학생 초청 프로그램인 AMA 대상자로 선발됐다. AMA는 아시아 20개국에서 각각 1명씩 매년 20명의 장학생을 선발해 초청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는 몽골에서 몽골예술무용학교와 몽골예술대학을 졸업했고(2006년) 한국에 오기 전까지 군대예술악단에서 연주자로 활동한 터라 한예종 전문사 과정에 입학할 수 있었다.

그는 틈틈이 일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몽골 음악을 연주하고 강의도 하고 있다. 또 지난해 3월 ‘아시안뮤직앙상블팀’에 합류, 작년 말 부산영화제 폐막공연 무대에 올랐고 이달 초까지 약 한 달간 프랑스 파리에서 공연도 펼쳤다.

앙상블은 한예종에서 공부하는 외국 유학생들과 한국인 학생들이 각국 전통음악을 통해 아시아 음악을 알리자는 취지로 만들었다.

아마르자르갈씨는 또 올 여름에는 몽골 전통악기 마두금 앙상블인 ‘아르가 빌레그’ 단원 7명을 초청, 경상남도 사천에서 열린 타악 페스티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했다.

작년에는 판소리와 거문고, 대금, 가야금을 전공하는 한국 학생 5명과 함께 몽골을 방문, 내륙 초원지대인 우브르항가이 유목민촌에서 연주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