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제2차 중소기업 금융지원위원회’ 개최…부실징후 기업 적극지원

입력 2013-10-25 17:52수정 2013-10-25 19: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 왼쪽)부터 주인종 신한은행 부행장,한성수 하나은행 부행장,김양진 우리은행 수석부행장, 이건호 국민은행장,한정화 중소기업청장,최수현 금융감독원장,신충식 농협은행장,조준희 기업은행장 사진제공 중소기업청 박철규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유성수 기술보증기금 전무이사,권영택 신용보증기금 전무이사.
부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작업이 적극 시행된다.

중소기업청은 25일 ‘2013년 제2차 중소기업 금융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내년도 중소기업 경기전망을 비롯해 중소기업 정책금융지원 방향을 논했다.

이날 6개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기술신용보증기금 등 9개 기관은 ‘중소기업 구조개선 지원 활성화’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4월부터 워크아웃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이 공동으로 구조개선 지원을 시범적으로 추진한데 이어 이번 정책금융기관 및 시중은행의 협약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부실 중소기업의 구조개선 작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구조개선 협약 내용을 살펴보면 기업구조 개선진단을 통한 부실징후기업의 정상화 지원에 중점을 두되 한계기업은 기업회생을 유도하거나 청산·파산 권고키로 했다.

또한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강력한 기업의 자구노력(자본증자, 자산매각)을 전제로 은행권과 정책금융기관이 경영정상화에 소요되는 기업구조 개선자금을 공동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한정화 중기청장은 “어려운 중소기업을 조기진단해서 회복시키고, 적극적으로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하며 기업이 퇴출되더라고 개인의 피해는 최소화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라며 “금융기관에서 협조해주면 실패해도 재도전이 가능한 창조경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자리에 함께 참석한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부실 중소기업 선별작업은 막바지에 들어갔으며 (명단은) 12월 초에 발표할 것”이라며 “구조조정은 기업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살리기 위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이날 한 청장은 책임경영, 도덕적 해이 방지 등을 전제로 창업자에 대한 CEO 연대보증 완화방안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 청장은 “금융권에서도 창업초기기업의 실패에 대한 부담을 완화함으로써 우수인력이 적극적인 창업에 임할 수 있도록 연대보증 폐지에 관심이 필요하다”며 “보다 큰 효과를 시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므로 창업자에 대한 연대보증에 대한 금융권의 적극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