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불똥 막아라”… 청와대 직원, 국회상주해 로비(?) 활동

입력 2013-10-21 08: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여야 보좌진 수시 접촉… 전화로 상부에 상황 보고

“잘 좀 봐주십시오.” “내일은 어떤 내용으로 감사 준비하고 계신가요?” “정부가 설명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습니다.”

국회 국정감사가 진행되는 동안 피감기관보다 바쁘게 뛰고 있는 사람들은 청와대 직원들이다.

이들은 국정감사 기간 내내 사실상 국회에 상주하며 활동한다. 상임위 주변에서 상황을 살펴 수시로 상부에 전화 보고하고, 국감에서 불거지는 내용들이 청와대로 확전되는 것을 막는 게 주요 임무다. 대부분 국회에 인연이 깊은 사람들이 많다.

이들은 주로 의원 보좌진과 만나 오해 소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아직 공개되지 않은 국감자료를 미리 입수해 보고하기도 한다. 여당과 청와대 사이에 의견조율이 필요할 땐 중간에서 다리 역할도 한다. 특히 일선 직원 선에서 해결할 수 없는 중대한 문제가 생길 땐 청와대 수석이나 비서관이 직접 국회를 방문하는 경우도 왕왕 있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의원 보좌관은 “정책 같은 경우 청와대 수석이나 비서관이 당에 와서 직접 설명하는 경우가 자주 있고, 일부 직원들은 조그만 정보라도 알아가려고 애를 쓰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민주당 의원실 관계자는 “청와대에서 주로 ‘잘 봐달라’, ‘살살 좀 해달라’고 부탁하는 경우가 많다”며 “사실상 로비를 하러 오는 건데 안면이 있는 사람들이 와서 얘기하는 데 난감할 때가 많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런 일련의 활동에 대해 “청와대와 정부 차원에서 해명할 것은 해명하고 소통하면서 오해가 풀어지는 경우도 왕왕 있다”며 “과거에도 통상적으로 해 온 업무로서, 특별히 로비활동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국회에 직원을 파견하는 일 외에도 주요 이슈나 의혹제기에 대해 정부가 적극 나서 반박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공무원들과도 수시로 회의를 연다. 24시간 연락할 수 있는 긴급연락망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해당 국감장에 출석하는 정부 관계자들이 일관된 목소리를 내고 여야의 질의에 대응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소통’이라고 주장하는 이런 활동이 때로는 화를 부르기도 한다.

최근 보건복지위에서는 국감 도중 ‘기초연금 야당 의원 발언 대응’이란 문건을 복지부가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배포돼 야당이 반발, 감사가 파행을 빚은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