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ABS발행 11조5000억원, 전년비 3.4%↓

입력 2013-10-17 12: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분기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실적 분석’에 따르면 3분기 자동유동화증권(ABS)발행 총액은 11조50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000억원(3.4%)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3분기 기업들의 자산유동화증권(ABS)발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체 ABS발행 총액이 전년 동기보다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금융회사의 ABS발행 규모는 3조8000억원 수준이다. 이는 ABS발행총액의 33.5%에 달하는 수치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수치다. 금융사의 ABS는 부실채권 등을 기초로 발행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용카드사는 전년동기대비 32.3%늘린 1조6000억원의 ABS를 발행했다.

이는 통신사 단말기 할부채권의 인수를 통한 ABS발행사업에 하나SK카드 이외의 타 카드사들이 진입하면서 ABS발행이 늘었기 때문이다.

또 할부금융사의 자동차할부채권 및 리스채권을 기초로 한 ABS발행은 8000억원 규모로 전년동기대비 4000억원(83.5%) 증가했다.

반면 증권회사의 ABS발행 규모는 줄었다. 증권회사가 발행한 ABS(4000억원 규모)는 전액 Primary-CBO로서 전년 동기 대비(1조원) 6000억원이 감소했다.P-CBO는 자체신용도로 채권을 발행하기 힘든 중소 및 중견기업의 채권을 모아 이를 기초자산으로 신용보증기금 등의 신용보강 등을 통해 발행된다.

지난 10월 건설사 P-CBO 등 정부지원정책 및 올 상반기까지 계속된 저금리 기조에 따라 상반기까지 P-CBO가 크게 증가한 데 따른 상대적 감소세로 풀이된다.

공공법인에 해당하는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올 3분기에 자산보유자 중 가장 많은 6조3000억원의 MBS를 발행했다. MBS는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발행된다

일반기업은 매출채권 및 대출채권을 기초로 전체 ABS의 11.7%를 차지하는 1조3000억원의 ABS를 발행에 그쳤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24.2%감소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사(LG유플러스, KT), 단말기할부채권, 장래매출채권 등을 기초로 한 ABS발행은 전년동기보다 3000억원(27.4%)줄어든 1조원에 그쳤다.

통신사 단말기할부채권 ABS발행 감소폭(5000억원)이 컸기 때문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ABS 발행은 2000억원 규모로 이는 전년동기보다 2000억원(42.6%)감소한 수치다.

부동산경기 침체로 올 들어 대형건설사의 신용등급까지 잇따라 하락하면서 선설사 및 시중은행 등의 PF사업장 리스크 관리가 강화됐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발행규모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MBS 및 단말기 할부채권 ABS의 발행추이 및 적기상환 여부 등을 모니터링 할 것”이라며 ABS투자자 보호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