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한류 제1 조건은 금융당국간 협력지원”

입력 2013-10-02 10: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창간3주년 기획, 금융·기업연구소장 설문…기준금리 인상시기 “내년 3분기”

국내 금융경제연구소장 및 민간기업경제연구소 실장들은 국내 금융사들의 해외 진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간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 주도의 인위적 구조조정에 따른 메가뱅크 출현보다 시장 자율조정에 따른 금융사 자체 경쟁력 강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일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가 창간 3주년을 맞아 국내 금융경제연구소장 및 민간기업경제연구소 실장들에게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현주소와 전망, 정부 역할에 대한 의견을 구한 결과, 이들은 정부가 추진 중인‘금융한류’의 전제조건으로 이같은 점을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금융회사의 글로벌 투자은행(IB) 성장 선결 조건으로 자본력 확충과 리스크관리 역량 강화를 꼽았다. 아울러 정부주도 대형 딜 참여 기회 제공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시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로 내년 하반기를 꼽은 전문가들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62.5%(5명)가 내년 3분기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국내 경기가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지 않는 만큼 당분간 기준금리(2.5%)를 유지해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결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금융권의 수익 강화를 위해 비은행·비이자 이익 확대를 통한 수익 창출력 제고가 시급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대출을 통한 이자 이익만으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비이자 수익을 늘려 수익기반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해외 진출과 비은행 부문 강화 전략도 동시에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책지원과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데 전문가들은 공감했다. 여기에 시스템 안정, 역량 강화 등을 더해 국내 금융산업의 선진화를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올 상반기 금융권의 수익 악화에 대해 금융감독당국의 영업규제가 영향을 미친 것도 사실이지만, 금융회사 자체적으로 금융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경영리스크에 기인한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정부의 서민금융과 중소기업 지원 확대 정책에 대해서는 정치 논리에 의해 시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가계부채 1000조원 시대를 맞은 정부의 대책에 대해 전문가들은 정부의 가계부채 축소 방향이 적절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일자리 창출과 개인소득 증대, 부동산 시장 안정화 등이 병행돼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STX·동양그룹 등 부실기업 구조조정과 관련, 대기업 구조조정은 시장원리에 따라 신속히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