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대기업에 의존하는 '온누리 상품권' - 권태성 산업부 기자

입력 2013-09-26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추석, 설 등 명절에만 온누리상품권이 시장에 풀렸다가 명절이 지나면 확 줄어요. 전체 상품권 이용의 30% 정도만이라도 소비자가 평상시 자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진병호 전국상인연합회 회장이 올해 추석을 앞두고 서울 신원시장을 찾은 중소기업계 인사들에게 토로한 말이다. 대기업과 정부부처·자치단체가 명절을 앞두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상품권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지만, 이때만 상품권 이용이 ‘반짝’ 증가한다는 상인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대기업에만 의존하는 온누리상품권 판매 행태를 꼬집은 것이다.

상인들의 우려는 현실이 됐다. 올 추석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이 급감했다. 중소기업청이 김상훈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추석 연휴 기간 온누리상품권의 대기업 판매액은 지난해 1800억원의 3분의 1 수준인 664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상품권 판매 누적액의 40%를 차지하는 대기업들이 구매 규모를 줄이면서 상품권 판매액도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1420억원어치를 구매한 삼성은 올해는 80%가량 줄어든 266억원어치를 구매했고, KT, LS, 동부, STX, LG그룹 등 다른 대기업의 구매 규모도 상당부분 줄어들었다.

문제는 ‘언제까지 대기업만 바라볼 것인가’다. 대기업이 상생과 협력 차원에서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해 주고 있지만 반드시 구매할 의무는 없다.

중기청과 시장경영진흥원은 대기업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전통시장의 접근성·편리성·신뢰성을 끌어올려 자연스럽게 소비자가 시장을 찾게끔 해야 한다. ‘반짝’ 이벤트 식으로 상품권이 판매되는 지금 상황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은 동반성장 시대의 하나의 ‘깜짝’ 이벤트로 그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