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총장 사퇴]청와대, 채동욱 총장 사퇴에 무반응...해석 분분

입력 2013-09-13 16:09수정 2013-09-14 15: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채동욱 검찰총장의 전격 사의표명에 대해 청와대는 공식 반응을 즉각 내놓지 않았다.

다만, 청와대는 내부적으로 채 총장의 퇴진이 '불가피한 수순'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채동욱 개인과 한 신문의 다툼이라고 해도 사회적 의미가 크지 않은가. 검찰총장은 공직자도 그냥 공직자가 아니라 사정기관의 총수"라며 "빨리 가부가 밝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감찰 착수에 대한 법무장관의 독자판단 여부에 대해 "잘 모르겠지만 혼자 결정한 것이겠나"라고 반문, 여운을 남겼다.

청와대 내에서는 박 대통령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가 열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머물던 지난 6일 이 사건의 보도 직후부터 채 총장이 오래 버티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류가 감지됐다.

박 대통령의 해외순방 중 터져 나온 이 사건은 실제 청와대 관련 라인을 통해 박 대통령에게 상세히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채 총장은 새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3월15일 검찰총장에 내정될 당시 '특수통'으로 소신있는 검사라는 점이 부각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민주당도 '채동욱 검찰총장 체제'에 대한 기대를 숨기지 않았다.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 "거의 도덕성에 하자가 없다"는 평가가 민주당 위원들한테서 이구동성으로 나왔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그는 전두환 전 대통령 비자금 수사와 CJ그룹 수사 등에서 급피치를 올렸다. 그러나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수사에 이르러 결국 여권에 부담을 준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이 사건 과정에서 황교안 법무장관과 채 총장이 원세훈 전 원장에 대한 신병처리와 법적용 등을 놓고 심하게 갈등했다. 야당은 '국정원 댓글 사건'을 고리로 박근혜 정부의 정통성 공세를 취했다.

이 때부터 채 총장에 대한 청와대의 기류도 떨떠름해졌다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밖에도 일각에서는 김학의 전 법무차관과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등에 이어 이번 사건이 진위를 떠나 여성과 관련한 '추문'이라는 점도 청와대를 불편하게 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