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中 진출 중기 지원 인프라 강화… 정보지원센터 등 구축

입력 2013-09-12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소기업청은 국내 중소기업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 공략을 위해 ‘인프라 구축 4대 전략’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고비용, 현지 정보부족, 비관세장벽 등 중국 시장 진출의 걸림돌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책인 것.

이번 주요 대책을 살펴보면 △온·오프라인 유통망 진출기반 구축 △체계적인 시장정보 제공 및 노하우 교육 △기업 맞춤형 종합지원 △진출기업 현지 네트워크 확대로 구성됐다.

먼저 중국 소비자들이 국내 중소기업 제품을 접할 수 있도록 칭다오 까르푸(家樂福), 베이징 롯데마트 등 주요거점에 안테나숍 형태의 ‘중기제품 전용매장’을 설치한다. 야마순(Amazon)과 같은 온라인쇼핑몰에 ‘한국관’을 운영하고 중국 홈쇼핑 채널 콰이러고우(快樂購), 지아요우(家有)와 국내 홈쇼핑 채널 CJ, GS, 롯데, 현대 등을 통해서도 중소기업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중국 유력 바이어 초청 상담회 역시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중국 관련 정보제공을 위해 온라인 ‘중국 법령 정보센터’를 구축하고 중소기업이 꼭 알아야할 주요 중국 법령을 제공한다.

중국 정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법령 제·개정시 중소기업에 전달하는 ‘조기알림서비스’도 실시한다.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 중국전문 인력을 현재 136명에서 30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진출기업 맞춤형 종합지원의 일환으로 유망 중소기업을 선정해 진출 전략을 구축한다. 역량진단, 전략수립, 브랜드개발, 연구개발(R&D) 등을 지원하겠다는 것.

각 종 국내외 규격 인증, 무역기술장벽(TBT) 관련 정보제공 및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해외인증획득지원 콜센터’, ‘기술규제SOS 대응반’을 설치 및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출 인큐베이터 설치를 확대할 방침이다. 중국 서부지역 진출 지원과 중서부지역 진출 기업을 시안(西安) 지역에 수출 인큐베이터와 중소기업지원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한정화 청장은 “중국은 중소기업의 최대 수출국일 뿐만 아니라 한중FTA가 2단계 협상을 준비하고 있는 등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이번 대책이 발표로 끝나지 않고 현장에서 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직접 챙기고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핵심역량 마음것 뽐낼 수 있는 환경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