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문·이과 통합 검토...한국사 필수 과목

입력 2013-08-28 13: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능 한국사 필수 돼도 수험부담 최소화하도록 출제

▲연합뉴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는 문과·이과 구분을 없애는 방안이 검토된다.

한국사는 사회탐구 영역에서 분리돼 수능 필수과목이 된다. 또 현재 고1·2학년이 치르는 2015∼2016학년도 수능에선 영어 A·B형 구분이 폐지된다.

교육부는 지난 2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을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6학년도까지는 현행 대입제도의 틀을 유지하되, 2017학년도부터는 대입제도를 바꾸기 위해 세 가지 안을 놓고 검토에 들어간다.

아울러 2017학년도 대입제도는 다음달 2일부터 권역별 공청회에서 의견을 수렴한 뒤 오는 10월 확정된다.

특히, 교육부는 위 세 가지 안은 현 골격을 유지하는 방안을 최우선 검토 대상으로 제시하면서 문·이과 구분을 일부 또는 완전히 없애는 두 가지 방안도 함께 제시됐다.

문·이과 구분을 전면 폐지하고 모든 학생이 공통으로 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 과목을 응시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이 최종 선택되면 모든 수능 응시자는 국·영·수·사·과·한국사 6과목을 똑같은 문제로 응시한다.

수학은 현행 문과형(수리 나형, 2014학년도 수학 A형) 수준으로 단일화되는 반면 한국사는 2017학년도부터 사회탐구 영역에서 분리해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되 수험부담을 최소화하도록 출제한다.

이밖에도 교육부는 대입에서 수능과 함께 핵심 전형요소인 학생부는 현행 석차 9등급제(상대평가제)를 유지해 나갈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