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北, 이산가족상봉 회담수용, 금강산관광재개 제의...정부 '신중'

입력 2013-08-18 1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2일, 23일 양일 모두 금강산서 열자" 北매체 통해 밝혀

북한이 우리 정부가 제안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23일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수용했다.

북한은 18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다가오는 추석에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행사를 열자며 우리측 실무접촉 제안을 수용한데 이어 23일 적십자 실무접촉 역시 금강산에서 개최하자고 공식 제안했다.

앞서 우리 정부는 지난 16일 북측에게 이산가족 실무접촉을 제안하고 회담 장소를 판문점 우리측 평화의 집으로 하자고 요청한바 있다.

북한은 이날 담화에서 "22일엔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남북실무회담을 열자"고 추가로 제안했다.

북측은 담화문을 통해 "우리는 앞서 지난 6월 6일 조평통 담화문과 7월 10일 남측에보낸 통지문에서 개성공업지구 실무회담과 동시에 금강산 관광 재개,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한 바 있다"면서 "남측에서도 이산가족 상봉은 물론 금강산 관광을 재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북측은 이어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 관광은 다같이 화해와 단합, 통일과 번영의 상징으로서 더는 지체할 수 없는 절박한 민족공동의 소중한 사업. 개성공업지구 문제가 해결의 길에 들어선 오늘 금강산 관광도 재개돼야 하며 그것은 북남관계 개선에도 매우 유익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동시 다발적인 회담 제의는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경제적 실익을 보장할수 있는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앞서 지난 6월 우리 정부에 '남북당국간회담'을 제안하며 그 의제로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동시에 포함시켰었다.

특히 금강산 실무회담의 날짜를 우리 정부가 제안한 이산가족 실무접촉 일자인 23일보다 하루 앞당긴 22일로 제안, 남측의 금강산 실무회담 수용 여부와 회담 결과에 따라 이산가족 실무접촉의 태도 변화를 꾀하겠다는 의도가 포함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북측은 실제 담화문에서 " 첫째 추석을 계기로 금강산에서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을 진행하며 10·4 선언 발표일에 즈음하여 화상 상봉을 진행하도록 한다"면서 "이를 위한 북남적십자실무회담은 남측의 제안대로 23일에 개최하도록 하며 장소는 금강산으로 하여 실무회담기간 면회소도 돌아보고 현지에서 그 이용대책을 세우도록 한다"고 밝혔다.

북측은 "둘째로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오는 22일 금강산에서 개최하도록 한다"며 "금강산 실무회담에서는 관광객사건 재발방지문제, 신변안전문제, 재산문제 등 남측의 관심사로 되는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협의,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제안했다.

북측은 담화문을 통해 세번째 방안으로 "조선반도의 평화와 민족공동의 번영을 위한 사업을 활성화하도록 한다. 민족의 화해와 단합, 나라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제반 사업들을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벌려 북남사이의 동포애적 유대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정부는 18일 이같은 북한의 입장표명에 통일부를 중심으로 긴급 대책회의를 갖는 등 긴박하게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통일부와 청와대는 어느때보다 신중한 태도를 취하며 입장을 정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동안 북한에 대한 금강산관광 재개의 조건으로 박왕자씨 피격사망 사건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 관광객 안전보장 등을 요구해 온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이 뾰족한 합의점을 내놓지 않아 진전을 보이지 못했었다.

이에따라 북한의 18일 적십자회담수용및 금강산관광재재 실무회담을 제안한 것을 계기로, 북한이 진정성있는 속내를 갖고있는 지 여부에 따라 개성공단재개로 물꼬를 튼 남북관계가 대화무드로 빠르게 접어들지, 또다른 갈등요소를 만들어내며 교착상태를 이어갈지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