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5를 기억하라”… ‘8부 능선’ 넘은 전력위기 ‘방심 금물’

입력 2013-08-14 08: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번 주 3일 비교적 선방… 하지만 9월 늦더위 변수, 끝까지 긴장해야

이번 주 최대 고비로 꼽혔던 전력수급이 연이틀 선방하면서 위기 극복의 ‘8부 능선’을 넘었다. 하지만 9·15 순환단전 사태와 같이 예상치 못한 늦더위가 전력위기의 변수가 될 수 있어 오는 9월 중순까지는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14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일 전력수급은 산업체와 국민들의 절전 동참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비교적 순탄하게 흘러갔다. 최대 고비로 꼽혔던 지난 12일에 이어 전력수급경보 발령도 ‘준비’(예비전력 400만kW 이상 500만kW 미만)단계에 그쳤다.

전력당국은 이날 산업체 조업조정(138만kW), 절전규제(301만kW), 주간예고(91만kW), 선택형 피크요금제(10만kW), 현장절전(55만kW) 등 총 595만kW 상당의 비상수급조치를 취했다.

이제 남은 큰 고비는 14일 하루다. 전력거래소는 이날 최대 전력수요가 7860만kW, 최저 예비전력이 382만kW로 수급경보 ‘관심’(예비전력 300만kW 이상 400만kW 미만)단계 발령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주 전력위기가 잘 마무리되더라도 방심은 금물이다. 실제 2011년 9·15 순환단전 사태도 당시 한 여름 전력난을 피한 상태에서 방심으로 발발한 인재(人災)였던만큼, 올해 역시 오는 9월 중순까지는 전력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자칫 9·15 사태를 재현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장기 기상예보에 따르면 오는 9월 초부터 중순까지 늦더위가 찾아올 전망이다.

또한 전력당국이 ‘이번 주 전력위기만 넘기면 된다’만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또 다시 9월에 전력위기가 찾아오게 되면 절전에 동참해야 하는 산업체와 국민들의 피로도도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매번 ‘이때만 넘기면 된다’는 식의 땜질처방이 아닌 공급능력 확충, 수요예측의 정확도 향상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이유다.

한편 전력당국은 지난 12일 수요관리 비용으로 약 42억원을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번 주 사흘간 쓰게될 수요관리 비용은 100억원 이상을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