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서울광장서 의총 … ‘김한길표 장외투쟁’

입력 2013-08-01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주당이 국정원 댓글의혹 사건 국정조사 파행에 반발해 비상체제를 선언하고 1일 장외투쟁에 돌입했다. 국정조사 증인채택에 합의에 대한 실패 명분으로 이 같은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정국은 더욱 급속하게 파행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서울 시청광장에 ‘민주주의 회복과 국정원 개혁 촉구 국민운동본부’를 설치하고 현장 의원총회를 개최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장외투쟁과 원내투쟁을 병행해 가겠다고 선언했다. 오는 3일엔 청계광장에서 독자적인 촛불집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의 장외투쟁 승부수가 얼마나 호응을 얻을지 관심이 쏠린다. 앞서 열린 긴급의원총회에서 국정원 증인채택 협의 결과에 따라 장외투쟁을 불사해야 한다는 강경론이 대다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강경파가 득세해 당론을 주도하면서 온건·협상파가 설 자리를 잃었다는 반응도 나온다. 당 안팎에선 지도부의 대여 타협 노선에 대한 강경파의 불만이 가중된 상황에서 김 대표가 이번 장외투쟁을 리더십의 반전기회로 삼으려 한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하지만 과거처럼 장외투쟁이 지지받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목소리가 크다.

김 대표는 전날 오후 긴급기자회견에서 “이 시간부로 민주당은 비상체제에 돌입한다”면서 “원내외 투쟁과 협상을 동시 진행하겠다”며 장외투쟁을 선포했다. 민주당의 장외투쟁은 당시 한나라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강행처리 했을 때인 2011년 11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그는 “민주당은 그동안 국정조사를 정상적으로 가동하려고 인내할 만큼 인내해 왔고, 참을 만큼 참았다”며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국정원 불법대선개입 사건의 진실규명과 국정원 개혁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것이 확인된 마당에 더는 참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민병두 전략홍보본부장은 앞으로 일정에 대해 “(국회)정상화 방안에 대해서는 그들(새누리당)이 답을 해야 한다”면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등 20명의 증인채택과 동행명령 확약을 수용할 것을 새누리당에 촉구했다. 장외투쟁에 대한 비판여론에 대해선 “과거에는 국민을 만나는 것(장외투쟁)과 입법 활동이 분리됐는데, 이제는 병행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 부여할 수 있다”고 일축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은 장외투쟁을 협상의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협상이 아니라 협박이 될 수 있다”며 “국정조사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은 자폭행위”라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