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금 현물시장, 실물·금융산업 융합창조경제의 모델”

입력 2013-07-25 11: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융합창조경제의 모델

한국거래소는 금 현물시장 개설에 대해 실물산업과 금융산업이 융합돼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거래소는 25일 브리핑을 열고 지난 22일 당·정협의를 거쳐 확정된 ‘금시장 양성화 방안’에 따른 시장개설 및 활성화방안을 발표했다.

정부의 금 거래 양성화 방안에 따라 내년 1분기 금의 수요·공급자가 가격과 품질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안정적으로 금을 거래할 수 있는 공적 공개시장이 개설된다.

한국거래소는 증권·선물사를 통한 주문 및 실물인출, 경쟁매매, 상하한가 제도 등 기존 증권시장과 유사하게 제도를 설계, 일반투자자들의 거래편의를 최대한 제고하고 실물사업자들의 시장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실수요자 우선체결·당일인출·협의거래 등 실물의 특성을 반영한 거래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국내 유통금의 고품질화를 위해 전세계 금거래의 표준인 순도 99.99%, 중량 1kg인 골드바가 우선 상장된다.

소액 개인투자자 참여 등을 위해 10g 이하 단위로 매매하되, 국제적 통용성 및 실물업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1kg단위로만 인출 허용된다.

매매는 주식시장과 같이 경쟁매매방식으로 거래되며 거래시간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로 장개시 및 종료시점의 단일가매매 및 그 이외는 접속매매로 구분된다.

아울러 거래소는 지역·단체별 방문교육 등 참여자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육·홍보를 추진하고, 적립식 상품 등 금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 금융감독원, 조폐공사, 금융투자협회, 예탁결제원 등 유관기관과도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해 금 현물시장의 차질없는 개설 및 조기 활성화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거래소는 금 현물시장 개설되면 금 현물시장 유통구조 선진화에 따른 지하경제 양성화, 귀금속산업의 경쟁력 강화, 실물산업과 금융산업 융합으로 자본시장 발전, 금 관련 파생상품 활성화, 외환보유고 확충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호철 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장은 “금 현물시장이 귀금속 유통구조 선진화를 통한 지하경제 양성화와 조세정의 실현은 물론 투자의 지평을 일반상품으로 넓혀 자본시장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실물산업과 금융산업이 융합되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