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가기록원 대화록 존재 여부 공방

입력 2013-07-18 17: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가기록원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과 녹음 기록물을 찾지 못했다고 확인하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새누리당은 원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국가기록원으로부터 확인했다고 밝힌 반면, 민주당은 “현재까지 찾지 못한 것”이라며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 황진하 의원은 18일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이나 녹음 기록물 등이 없음을 확인해 국가기록원 측에 문의한 결과 제시된 키워드와 고려 가능한 유사용어를 모두 이용해 기록원이 확인했지만 해당 문서를 찾을 수 없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또 “추가 검색어를 제공하고 48시간의 검색 시간을 더 줬지만 어제 방문에서도 국가기록원은 ‘해당 문건이나 자료는 찾지 못했다’면서 ‘국가기록원은 그런 문서나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새누리당 측과 국가기록원이 대화록을 찾지 못한 게 아니라 문서가 아예 없다고 밝히자 민주당은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민주당 우윤근 의원은 운영위 보고에서 “국가기록원이 정상회담 대화록이 없다고 답변했지만 ‘찾지 못했다는 것’이 옳은 대답”이라며 “(국가기록원 측에) 모든 가능한 노력을 완벽하게 했다고 선언한 자체가 석연치 않다는 점을 분명히 말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노무현정부가 기록물을 폐기했을 가능성을 일축하며, 이명박정부의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앞서 전병헌 원내대표는 오전 고위정책회의에서 “만약 이 기록물이 없는 게 확인된다면 민간인사찰을 은폐해 온 점이나 국정원 댓글 폐기와 조작 경험에 비춰 삭제와 은폐의 전과가 있는 이명박정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참여정부에서는 역대 정부의 모든 기록을 합친 것보다 훨씬 많은 기록이 만들어졌고, 그 기록물을 통째로 대통령 기록원에 넘겼다”고 말했다. 배재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일부 신문은 마치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화록 원본을 국가기록원에 넘기지 않았거나, 폐기를 지시했다는 식의 단정적인 보도를 내보내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와 관련해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논평에서 “대화록이 유실 또는 폐기됐거나, 아니면 국가기록원 어디에 존재하는 것을 기술상의 문제로 찾아내지 못했을 것”이라며 “사실여부가 확인이 안 된 증언들이 나오고 있는데 진실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으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