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이버테러 체계적 대응체계 구축한다

입력 2013-07-04 15: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청와대를 중심으로 민·관·군 합동 사이버테러 대응체계를 마련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급증하는 사이버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청와대, 국정원, 미래부, 국방부, 안행부 등 16개 관계부처가 함께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4일 밝혔다.

사이버테러 발생 시 컨트롤타워는 청와대가 맡기로 하고 실무총괄은 국정원이 담당키로 했다.

이외 미래부 국방부 등 관계 중앙행정기관은 각 소관분야를 방어함으로써 상황을 동시에 전파, 공유하는 체계를 마련했다.

특히 중요사고에 대해서는 민·관·군 합동대응팀을 꾸려 상호협력 및 공조를 강화키로 했다.

기관 간 더욱 원활한 정보공유를 위해 ‘사이버 위협정보 공유 시스템’도 2014년까지 구축한다. 이 정보는 민간부문까지 넓혀나갈 계획이다.

사이버 보안 시스템 역시 전반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2017년까지 주요 정보통신기반 시설을 현재 209개에서 400개로 확대한다.

국가기반시설은 더욱 철저히 망을 분리해 운영하기로 하고 전력, 교통 등 특정 분야별 위기대응훈련도 시행한다.

정보보호 관라체계 인증대상도 기존 150개에서 500개로 확대하고, 보안 점검 및 교육을 통해 민간기업도 사이버 테러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보안전문가 교육에도 투자할 방침이다. 미래부는 정보보호 전문가 양성사업을 확대하고 영재교육원도 설립해 2017년까지 화이트 해커 5000명을 양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곧 발표될 금융위의 ‘금융전산 보안강화 대책’과도 공조해 사이버테러에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