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 패러다임 ‘혁신’…‘산업혁신운동 3.0’ 출범

입력 2013-06-18 10:20수정 2013-06-19 13: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현대차 등 11개 대기업 2055억 투입…2·3차 협력사까지 상생지원

대기업과 1차 협력사 간 동반성장을 2·3차 협력사까지 확산시키는 ‘산업혁신운동 3.0’이 공식 출범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산업통상자원부과 18일 대한상의회관에서 ‘산업혁신운동 3.0 출범식’을 개최하고 삼성·현대차·포스코·LG·현대중·두산·SK·롯데·한화·KT·효성 등 11개 대기업과 재원출연을 위한 협약을 맺는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장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과 대·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400여명이 참석한다.

산업혁신운동 3.0은 1970~1980년대 개별기업의 성장에 집중했던 공장새마을운동(1.0)과 대기업·1차 협력사 중심의 성과공유제(2.0)를 발전시킨 새로운 동반성장 모델로 2·3차 협력사까지의 지원확대를 통한 대내외 어려움을 극복할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운동의 취지에 공감한 11개 대기업은 우선 2013년부터 5년 간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2055억원을 출연할 계획이다. 대기업 뿐 아니라 루멘스, 티케이케미칼 등 16개 중견기업도 같은 기간 8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들 기업의 출연기금(2135억원) 중 약 25%에 해당하는 505억원은 협력사가 아닌 미연계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쓰인다.

이를 통해 2013년부터 5년 간 약 1만개의 2·3차 중소기업들이 생산성·기술 지원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10인 이상 중소제조기업의 약 15%, 뿌리기업(도금·금형·용접·주물 업종의 중소기업)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또 2017년까지는 중소기업 1인 당 노동생산성을 약 50% 이상(2011년 9900만원 → 2017년 1억5000만원)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번 산업혁신운동은 대기업 지원 하에 1차 협력사가 2·3차 협력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멘토링을 수행하고 외부 컨설턴트·기술전문가 등과 함께 공정·경영분야 등 혁신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를 위해 대한상의 내 중앙추진본부가 설치됐으며 중견련, 산단공, 생산성본부, 5개 업종단체(자동차협회·전자진흥회·디스플레이협회·기계재단·석유화학협회) 등 8개의 단체별 추진본부를 운영한다. 중앙추진본부 본부장은 손경식 대한상의 회장과 윤상직 산업부 장관이 공동으로 맡게 됐다.

손경식 회장은 “모기업과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들의 역량이 한데 모아질 때 최고의 품질이 구현되고 최고의 제품이 만들어 질 수 있다”며 “이 운동에 참여하는 2·3차 협력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사전진단을 통해 생산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야별 전문가를 파견해 개선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인력, 자금, 기술면에서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운동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민관 협력운동이자, 정부 부처간 협업의 롤모델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대기업과 1차 협력사에 대해 “3.0 운동의 성과를 협력업체가 최대한 향유할 수 있고, 납품단가 인하로 연결하지 않도록 협조해 줄 것”을 각별히 당부했다.

한편 산업혁신운동3.0 추진본부는 홈페이지(www.iim3.org)를 통해 7월까지 참여기업(1차)을 모집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