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추가 위조부품, 원전 안전성엔 영향 없어”

입력 2013-06-14 20: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최근 검찰이 밝혀낸 새한티이피의 추가 위조부품에 대해 원전의 안전성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14일 밝혔다.

원안위에 따르면 이번 위조 사례는 시험요건에 규정된 붕산수 대신 일반수를 사용해 냉각재상실사고(LOCA) 시험을 수행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부품은 협역수위측정기, 수소제거장치, 방사능감지센서, 케이블 어셈블리, 케이블 등 총 다섯 종류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현재 가동 중인 원전에 설치된 부품은 협역수위측정기, 수소제거장치 두 종류다. 원자로 바닥에 모인 냉각재를 재사용하는 데 쓰이는 협역수위측정기는 고리 4호기에 설치됐고 격낙건물 내 수소 제거 역할을 하는 수소제거장치는 고리 3·4호기, 월성 4호기, 한빛(옛 영광) 2·3·6호기, 한울(옛 울진) 2·3·6호기 등 총 9기의 원전에 설치됐다.

원안위 측은 고리 4호기에 설치된 협역수위측정기는 원전 안전운전엔 직접적인 영향이 없고, 수소제거장치 역시 추가로 설치된 설비이기 때문에 안전성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원안위는 시험요건을 만족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관련 규정에 따라 붕산수를 사용한 재시험을 진행하기로 했다. 수소제거장치의 경우에도 내진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지만 정량적 확인을 위해 재시험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도 문제 부품들은 정비 중이거나 건설 중인 원전 총 7기에도 설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원안위는 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2호기에 설치된 방사능감지센서, 신고리 3·4호기에 설치된 케이블 어셈블리, 고리 1호기에 설치된 600V 케이블 등에 대해서도 향후 안전성 평가를 실시, 필요시 재시험을 요구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