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출구전략’에 멕시코·페루 ‘휘청’

입력 2013-06-10 10: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리 올라가면 외국인 투자 3분의 2 줄 듯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양적완화 프로그램 축소가 멕시코와 페루의 경제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외 투자자들은 연준의 양적완화 정책에 멕시코와 페루 등 신흥국 투자를 선호했으나 ‘출구전략’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손실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과거 미국의 금리가 올랐을 때 멕시코와 페루의 금융자산에 대한 해외 투자는 3분의 2가 줄었다.

멕시코 국채 투자의 외국인 투자 비중은 40%에 육박한다.

지난 1995년부터의 추세를 보면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멕시코의 비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은 63% 줄었다.

지난 12개월 동안의 비외국인직접투자 규모를 감안하면 감소 규모는 500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페루 누에보솔화 표시 자산의 외국인 비중은 전체의 57%에 달하며 금리 상승으로 인해 61%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칠레는 40~48%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준이 매월 850억 달러 규모의 채권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최근 불거지면서 멕시코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5월에 100bp(1bp=0.01%) 상승했다.

브라질을 비롯해 콜롬비아와 페루 채권에도 매도세가 유입됐다.

라틴아메리카의 주요 통화 가치는 평균 5.5%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라틴아메리카의 견실한 재정정책과 분별있는 경제운용을 들어 라틴아메리카 시장을 선호했다. 특히 연준의 양적완화로 수익률이 약화하면서 라틴아메리카 시장의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통신은 전했다.

라틴아메리카는 지난 2년 동안 해외투자를 이끌면서 다른 신흥시장을 능가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그러나 외국인 자금 유입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투자자들이 수익을 실현해야 하는 단계가 오면 강한 자금 유출을 겪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