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무실 동반성장, 해법은-1] 동반성장, 확산하는 낙수효과

입력 2013-05-27 17: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2 동반성장지수’가 발표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중소기업 대통령’을 자칭하는 등 동반성장을 강조하는 분위기에 대기업들은 희비가 엇갈리는 모양새다.

코오롱글로벌·현대홈쇼핑·현대백화점·홈플러스·CJ오쇼핑·KCC·LS산전·STX중공업 등 8곳이 최하위인 ‘개선’ 등급을 받았고,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S·현대미포조선·현대중공업·포스코·SK텔레콤·SK종합화학·SK C&C 등 9곳은 최고 등급을 받았다.

동반위는 전기·전자, 기계·자동차·조선, 화학·비금속·금속, 건설, 도소매·식품, 정보통신서비스 등 6대 산업군에서 74개 대기업을 평가해 우수, 양호, 보통, 개선 등 4개 등급으로 나눴다. 구두 발주, 기술 탈취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면 감점을, 협력이익 배분이나 성과공유를 시행하면 가점을 주는 방식이다.

동반성장지수는 기존 상생협력지수(지식경제부), 동반성장 및 공정거래협약 평가(공정거래위원회), 호민인덱스(호민관) 등 관련 지수를 통합해 지난해 처음 발표됐다. 유장희 동반성장위원장은 “동반성장지수는 기업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협력기업과 약속한 내용을 객관적으로 살펴 동반성장문화가 산업계 전반에 확산되는 풍토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동반성장지수 발표 등 사회적 압박이 거세지면서 대기업들은 협력사와의 소통채널을 마련하고 금융 기술 등을 지원하는 등 바삐 움직이고 있다. 특히 현재 100여사가 운영하고 있는 성과 공유제는 동반성장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성과공유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원가절감, 신기술 개발 등 공동의 목표를 달성했을 경우 얻은 성과를 공유하는 계약모델이다. 민간이 시작해 호평을 받자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등 정책으로 채택됐다.

2004년 국내 최초로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포스코는 공동성과에 대해 협력사에 50% 현금보상, 물량확대 등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총 2351건의 과제를 수행하고 1328억원을 보상했다. 올해부터는 성과공유제 자율추진 협약에 참여하는 협력사를 7사에서 15사로, 동반성장 투자재원 출연금액을 1600억원에서 2100억원으로 늘렸다.

CJ제일제당은 식품기업 특성을 살린 새 모델을 선보였다. 두부, 장류, 김치 등 지역 상품을 발굴해 ‘즐거운동행-상생제품’이라는 브랜드로 CJ제일제당이 전국 할인점과 백화점, 온라인 등으로 판매하는 것.

제일제당과 손잡은 김성원 여수돌산갓영농조합법인 대표이사는 “CJ제일제당과의 성과공유제 사업으로 인해 돌산갓김치의 품격이 높아지고 조합의 브랜드 인지도가 꽤나 상승했다”고 말했다. 성과공유제 시행 전인 2011년 총매출 22억원이던 조합은 2013년 30억원 매출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기술 공동개발 사례도 있다. 현대차는 30년 이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견기업 명화공업과 함께 전동식 워터펌프를 개발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40억원이 들어간 개발프로젝트에 명화공업이 부담한 액수는 10억원뿐이다. 현대차는 개발비 분담뿐 아니라 연구인력까지 투입해 팀을 이뤘다.

이렇게 공동개발된 워터펌프로 명화공업은 2014년 기준 신규매출 26억원이 발생할 예정이다. 친환경 자동차가 주목받으면서 앞으로 매출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 과정에서 취득한 해외특허 8건을 포함한 22건의 특허권도 현대차와 공유하면서, 명화공업은 기술료는 물론 해외시장 진출에서도 더욱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