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4 등장에 재고폰 처리 급급… 불법보조금 영업 또 기승

입력 2013-04-26 08: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갤럭시S4’가 26일 정식 시판에 들어가자 기존 재고폰 등을 처리하기 위한 불법보조금 영업이 또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신림동의 한 휴대폰 대리점에선 25일 ‘갤럭시S4’ 예약 간판을 내건 가운데 ‘갤럭시S3’, ‘갤럭시노트2’, ‘옵티머스G 프로’ 등 다양한 기존 휴대폰 단말기에 대해 기종마다 차이는 있지만 최대 50만원의 현금을 지급한다는 광고안내문을 내걸었다.

또다른 대리점에선 위약금 대납, 보조금 50만원 제공 등을 약속하며 기존 재고폰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

’갤럭시S3’의 경우에도 방통위 보조금 가이드라인인 27만원을 넘어 35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위약금12만원을 포함하면 47만원의 보조금 지급을 밝힌 셈이다.

대리점의 경우 ‘갤럭시S4’ 출시를 앞두고 재고폰 정리를 위해서는 이같은 보조금 지급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통사 대리점 관계자는 “인기 제품이 출시되면 한동안은 그 제품을 찾는 고객만 늘어나고 재고폰 처리가 힘든 상황”이라며 "보조금이 많다보니,‘갤럭시S3’, ‘갤럭시노트2’ 등 기존 단말기도 많이 판매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불법보조금 영업은 방통위의 강력한 제재경고에도 불구하고 계속되고 있다.

방통위는 23일 최근 주말동안 불법보조금이 등장할 조짐을 보이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의 영업 담당 임원을 긴급 소집, “보조금 경쟁을 자제하라”고 경고한바 있다.

이어 24일에는 이경재 방통위원장이 단말기 보조금 시장 과열과 관련 “주도사업자를 선별해 가중 처벌함으로써 규제 실효성을 높여나가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시장 과열시 즉각 조사에 착수하고 주도 사업자를 선별해 강력 제재할 계획도 세웠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이통사 관계자는 “과다 보조금 지급문제와 관련, 일부 온라인 판매점과 대리점이 이같은 영업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꾸준히 온라인 판매 모니터링 강화, 지점 및 대리점 판매 필터링 강화 등을 통해 본사차원에서 제재하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