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대책 업고 아파트 경매시장 ‘꿈틀’

입력 2013-04-24 18: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도권 낙찰가율·응찰횟수 증가… “국회 통과·시행 기준 마련돼야”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이 꿈틀대고 있다.

4·1부동산종합대책 발표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사 비율)과 평균응찰 지표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매시장은 낙찰가율과 평균응찰 횟수가 좌우한다. 즉, 낙찰가율과 평균응찰 수치가 증가할수록 경매시장은 활기를 띈다는 뜻이다.

또한 경매시장 물량은 매매시장보다 싼 편이어서 이 기회에 내 집 마련을 노리는 수요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4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 1월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74.1%였으나 2월 76.0%, 3월 77.1%, 4월 현재 77.7%로 월마다 증가하고 있다.

평균 응찰 수치도 △1월 5.5 △2월 6.0 △3월 6.7 △4월 6.8을 기록하며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최근 내놓은 부동산종합대책 발표가 맞물리면서 경매지표가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회에서 최종안이 통과되지 않아 사람들의 관망세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은 “여·야·정이 합의한 대책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시행도 되고 있지 않아 사람들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 연구원은 경매물건에 대한 명확한 기준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양도세 혜택의 경우 매매는 1가구 1주택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지만 경매는 명확한 기준을 알 수 없다”면서 “혜택 적용 기준일도 매매는 계약 일을 기준으로 하지만 경매는 낙찰된 시점인지, 잔금기일을 기준하는지도 명확치 않다”고 말했다.

하 연구원은 오는 25일 열리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부동산대책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나서 하루빨리 관련 법안이 시행돼야 경매시장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관련 대책이 상임위를 통과하면 경매 시장에 긍정적인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