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게임업계,꼭 거물급 정치인이 필요한가? - 김병주 미래산업부 기자

입력 2013-04-09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창조경제의 핵심은 게임산업이 돼야 한다”

올해 초 게임산업협회 신임 회장에 취임한 5선의 새누리당 남경필 의원 취임일성이다.

맞는 말이다. 국내 게임산업은 창조경제 정책의 핵심이 될 만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췄다.

남 신임회장도 잘 알고 있다. 본인 스스로도 게임업계의 심부름꾼을 자처하며 게임산업 성장의 발목을 잡는 각종 규제를 적극적으로 철폐하겠다고 강조한다. 게임업계도 최초의 정치인 수장을 통해 꽃 피는 봄을 맞이하겠다는 기대로 가득하다.

하지만 취임 한 달이 지난 지금, 게임업계 최초의 정치인 수장에 대한 기대는 우려로 바뀌고 있다. 게임업계도 정치인 수장 뒤에 숨어 과거보다 더 조용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가장 큰 우려는 역시 정치인 신분으로 업계 협회장을 겸직한다는 점이다. 게임산업협회는 게임업계 이익을 위해 존재하는 단체다. 정치인이 특정 업계의 입법 및 이익을 위해 일한다는 것 자체가 논란거리다. 그렇다고 협회장 입장에서 업계 이익을 도모하지 않을수 없다.그러면 ‘직무유기’다.

문제는 게임업계의 이익을 대변해야 하는 전문성이다.

산업에 대해 뭔가 알아야 우선순위도 정하고, 정책의 강약을 조절할수 있기 때문이다. 적법한 로비활동도 이러한 순위에 맞게 벌여야 한다.

하지만 그는 게임산업관련 활동을 해본적이 거의 없다.2008년부터 ‘한중 국제 e스포츠 대회’공동 조직위원장을 맡은게 전부다.

비전문가가 게임산업계 이익을 제대로 대변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은 당연해 보인다. 게임업계는 지난해부터 각종 정부 규제로 몸살을 앓고있다.

글로벌 게임업체와의 역차별 논란까지 불거졌다. 대형 업체 몇개를 제외한 대부분이 적자투성이다.

각종 규제로 민감한 시기에 과연 정치인 신분으로 소속 정당, 정부 정책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있게 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다.

업계도 고민이 있기는 마찬가지다. 정부규제와 청소년게임중독 등 비난여론이 거세지면서 거물정치인을 영입, 정치권과 친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장기적으로 게임산업계에 유리한 법개정에 활용하려는 것아니냐는 지적이다. 결국 성과를 내는 일만 남았다. 업계도, 거물급 정치인 출신 게임산업 단체장도 거센 비난여론을 잠재울만한 가시적인 성과들을 만들어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