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살률 유독 높은 이유? “특정 우울증 탓”

입력 2013-04-05 15: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멜랑콜리아형 우울증, 일반 우울증에 비해 자살 위험도 2배 높아

자살률 높은 우울증이 따로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6개국 13개 대학병원에서 총 547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가간 비교 연구를 진행한 결과 자살 위험도가 높은 우울증 유형을 발견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인터넷판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아시아 민족에서 ‘멜랑콜리아형 우울증(major depression with melancholic features)’을 보이거나 충동·분노감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 우울증보다 자살 위험이 각각 2배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한국인은 우울증 중에서도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42.6%로 다른 민족보다 1.4배 이상 높았고 같은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에서도 자살 위험이 다른 민족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더 심한 우울증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자살 위험이 더 높다는 보고는 많지 않았다.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란 심각한 우울증의 여러가지 유형 중 한 형태로 △즐거운 감정을 못 느끼고 △심한 식욕감퇴와 체중 감소 △안절부절 못하거나 행동이 느려지며 △새벽에 잠자리에서 일찍 깨고 △아침에 모든 증상이 더 심해지는 특징을 보이는 우울증을 말한다.

심각한 식욕감소와 새벽에 잠이 일찍 깨는 증상을 보이면서 즐거움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면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어 전문적인 진료가 꼭 필요하다.

특히 술로 잠을 이루려고 할 수 있는데 충동성과 초조 불안이 증가해 결국 자살 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새벽에 심해지고 술로 잠을 이루면 새벽에 금단증상이 발생하므로 술을 많이 마시는 경우, 특히 새벽 시간에 자살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은 한국과 중국처럼 사계절의 변동이 큰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더 많이 생기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생기는 것으로 관찰됐다.

따라서 한국인에서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을 보이는 경우 다른 나라의 일반 우울증 보다 4배 이상 자살 위험이 증가할 정도로 자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홍진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OECD 국가중 최고 수준인데, 자살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 우울증 중에서도 특정 우울증 유형을 다국가 공동연구를 통해 발견해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연구”라며 “멜랑콜리아형 우울증 환자에 대한 집중적 치료와 사회적 관심을 기울인다면 우리나라 자살률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