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린시설 경매, 최고 인기 물건은 ‘주유소’

입력 2013-03-29 11: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도권은 상가주택, 비수도권은 아파트상가 낙찰가율 높아

전국 근린시설 중 경매 낙찰가율이 가장 높은 물건은 주유소로 조사됐다. 단 수도권에서는 상가주택, 비수도권에서는 아파트상가 낙찰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올해 법원 경매장에 나온 전국 근린시설 중 올해 낙찰사례가 많은(20건 이상) 8가지 용도의 물건들을 따로 추려 조사한 결과 올해 주유소 낙찰가율은 73.44%를 기록해 73.32%를 기록한 아파트 상가를 근소하게 앞섰다. 뒤를 이은 상가주택은 낙찰가율 70.23%로 3위를 차지했지만 입찰경쟁률에서 가장 높은 3.43대 1을 기록했다.

이어 창고시설 66.43%, 자동차시설(중고차매장 등) 60.67%, 근린상가 57.99%의 낙찰가율을 각각 기록했다. 주상복합 상가물건은 42.45%의 낙찰가율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조사 결과가 사뭇 달라 눈길을 끈다. 수도권에서는 상가주택, 비수도권에서는 아파트상가의 낙찰가율이 각각 주유소보다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소재 상가주택 낙찰가율은 72.28%를 기록, 수도권 소재 주유소 낙찰가율(67.22%, 3위)을 5%p 이상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창고시설 낙찰가율이 70.62%, 오피스텔 상가 낙찰가율이 62.89%, 아파트 상가 낙찰가율이 62%의 낙찰가율을 각각 기록했다.

또 비수도권에서는 아파트상가 낙찰가율이 81.47%를 기록, 수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주유소 78.15%, 자동차시설 68.51%, 상가주택 67.74%, 창고시설 63.57% 순이었다.

수도권은 경매시장 최고의 블루칩이던 아파트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투자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인식이 강해졌고 그 대안으로 상가주택이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상가주택은 노후 주거와 수익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상품으로 부각되면서 근린시설 중에서는 인기가 높은 편이다.

반대로 비수도권은 아파트 시장 상황이 수도권처럼 나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아파트 주민을 대상으로 안정적 수입을 원하는 자영업자들의 임차 수요가 늘어날 것을 염두에 둔 입찰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써낸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태인 정대홍 팀장은 “상가주택과 아파트상가는 안정적 수입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입지와 주 소비층 분석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오히려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거나 아예 수익을 내지 못할 수 있다”며 “따라서 현장답사와 입지분석 등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또 “이들 물건은 ‘임차인’이라는 필수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경매 입찰 전 권리분석과 배당 예상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