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깊은 신세계 "창사이래 최대 위기"

입력 2013-02-07 16:06수정 2013-02-07 21: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용진 검찰 소환에 이마트 압수수색 등 악재 이어져

신세계그룹이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

오너가 검찰에 소환된 지 이틀만에 압수수색까지 당했다.

서울 지방노동청은 7일 오전부터 신세계 이마트 본사와 동광주, 구미, 부천, 신도림, 동인천, 수지점 등 점포 13곳을 압수수색했다. 서울노동청은 이날 전산자료, 내부 회의 문서, 장부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29일 민주노총, 서비스노조연맹,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장하나 민주통합당 의원은 업무방해 및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검찰과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이마트를 고발했다.

이마트는 지난해 노조 설립을 방해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후 직원사찰, 인력 퇴출 프로그램 운영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내부 문서가 유출되며 파문이 일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17일부터 25일까지 이마트에 대한 1차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한 바 있다. 고용부는 일부 법 위반 혐의를 발견, 감독 기간을 오는 15일까지 연장했다.

일각에서는 "새 정부가 출범하며 내세운 경제민주화의 새로운 본보기로 신세계가 선택됐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이 정용진 부회장이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에 대해 검찰 조사를 받은지 이틀만에 이뤄져 사법처리가 불가피 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정 부회장은 지난 5일 베이커리 계열사에 대한 부당 지원 의혹과 관련해 서울중앙지검에서 오전 9시부터 12시간 동안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와 이마트는 지난해 10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과 함께 40억61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신세계·이마트·에브리데이리테일 등이 베이커리 계열사인 신세계SVN에 판매수수료를 과소 책정하는 방식으로 62억원을 부당 지원했다는 이유에서다.

이어 같은달 23일 경제개혁연대가 정용진 부회장을 포함해 신세계와 이마트 임원 3명을 배임 혐의로 고발했다. 이에 검찰은 지난해 11월 신세계 경영전략실과 이마트 본사 등 6곳을 압수수색하고 최근까지 임직원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왔다.

정 부회장은 작년 국정감사 청문회에 불참했다는 이유로 서울중앙지법으로부터 정식 재판에 회부된 상태다.

김승연 한화 회장에 이어 최태원 SK그룹 회장까지 구속된 상황에서 연이어 터져나온 사건들이 심상치 않다는 중론이다.

정 부회장에 대한 검찰 조사도 전례에 비춰서는 소환 조사할 사항이 아니라는게 새정권 출범과 맞물려 '예사롭지 않다'는 우려다.

국감이나 청문회 불출석한 인사를 정식 재판에 회부하는 것 역시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또 신세계는 인천터미널 부지 매입과 관련, 인천시·롯데와 복잡한 소송전에도 얽혀있다.

신세계측은 "창사 이래 최대 위기"라며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