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노믹스 어디로]영토분쟁 확산… 반일감정 격화로 수출 악영향

입력 2013-02-06 11: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불매운동 확대… 일본 경제성장 타격

중국 등 이웃국가들과의 영토분쟁이 지속되면서 일본의 우경화 정책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의회 연설에서 일본 경제, 지진피해 복구, 외교안보, 교육 4개 분야를 위기로 규정하고 ‘영토 수호’ 의지를 거듭 다짐했다.

아베 총리는 “일본의 미래를 위협하는 각종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면서 “이번 내각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영토를 단호하게 지키겠다”고 선언했다.

전문가들은 일본 정부가 글로벌 환율전쟁을 촉발하고 있다는 전세계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양적완화 정책을 이어가고 한국·중국과의 영토 분쟁에서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국수주의 노선’을 재확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JP모건체이스는 일본 정부가 댜오위댜오(일본명 센카쿠) 섬 3개를 국유화한 여파로 일본의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1% 하락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지난해 9월 촉발된 일본과 중국의 영유권 분쟁은 중국내 반일 감정을 불러일으키면서 일본 제품 불매운동으로 이어져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토니 내시 IHS컨설팅 이사는 “중국 시장에 대한 일본의 수출 의존도가 높아진 만큼 영토분쟁에 따른 일본 경제의 희생이 커지고 있다”면서 “일본의 국가주의는 중국 내 일본 제품 수요를 줄였다”고 말했다.

엔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무역적자 역시 지속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무역적자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내각부와 산하 경제기획협회가 지난달 이코노미스트 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년 안에 무역흑자 전환은 없다”는 응답이 전체의 28%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무라시마 기이치 씨티그룹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휴대전화 등 통신기기의 수입이 5년만에 5배 증가했다”면서 “중장기적으로 무역수지가 흑자로 돌아서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엔화 가치가 하락해 수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다고 해도 구조적으로 수출이 수입을 넘어서기가 어려워졌다”고 덧붙였다.

일본경제연구센터는 무역·서비스수지 적자가 오는 2020년 15조8000억 엔으로 지난 2011년의 3배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