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권 쟁탈전 2라운드 예고… 계파간 파워게임 재연 조짐

입력 2013-02-01 14: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주통합당이 전당대회 룰과 정치혁신 방안, 대선 평가 및 패배 원인 등 세 가지를 놓고 끝장 토론을 벌인다.

민주당은 1일부터 1박2일간 충남 보령의 한화리조트에서 ‘대선평가를 통한 민주당 상황 진단과 당의 향후 진로 모색’ 워크숍을 열고 이 같은 문제를 논의한다.

주제별로 차기 당권 쟁탈에 영향을 끼치는 사안이라 대선 패배에 따른 반성이나 결과 도출 없이 세력 간 파워게임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전대 룰은 계파별 이해관계가 직결되는 만큼 모바일 투표의 존폐 여부, 새 지도부 임기와 지도체제 형태를 놓고 힘겨루기가 예상된다.

최근 경선 때마다 논란을 일으킨 모바일 투표를 두고 비주류 측은 ‘당심 왜곡’과 ‘부정 경선 가능성’을 들어 폐지를 요구하고 있고, 주류 측은 “모바일 투표는 민주당의 역사”라는 주장을 펴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지도체제의 경우 강력한 리더십 확보를 위해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별도로 뽑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가 유력하다. 또 내년 지방선거를 감안해 새 지도부의 임기를 2년으로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한명숙 전 대표의 잔여임기인 내년 1월까지로 한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당 정체성과 노선 설정을 두고도 치열한 격론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총·대선의 잇단 패배 후 지나친 좌클릭을 지적하는 당내 목소리가 나오는 반면, 시민단체 출신이나 강경파를 중심으로 “진보적인 색깔을 더 드러내야 한다”는 주장도 거세다.

친노(친노무현) 주류 측과 비주류 측의 대선 패배 책임공방도 제기될 전망이다. 그동안 비주류 측은 패배 원인을 두고 ‘주류 책임론’을 꾸준히 제기해왔고, 친노 측은 ‘공동 책임론’을 꺼내들며 “친노는 실체가 없는 개념”이라고 맞서고 있다.

한편 5월 전대 개최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대선 패배의 책임론에 시달리는 친노 측은 후보를 내지 않는 대신 범친노 인사인 정세균 상임고문 등을 밀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캠프에서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김부겸 전 의원을 지지할 가능성도 있다.

비주류 측에서는 비노 대표주자인 김한길 의원이 차기 당권주자로 부상하고 있다. 사분오열된 당에 강한 구심력을 부여하기 위해 강경파인 강기정·안민석·이종걸 의원이나 정동영 상임고문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