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경제 성장 정체”…완화 기조 유지(종합)

입력 2013-01-31 0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허리케인 샌디 여파로 지난 분기 마이너스 성장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기존의 경기부양 정책을 계속 유지한다.

연준은 30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치고 낸 성명에서 매월 850억 달러(약 92조원) 규모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기준금리는 2015년 중순까지 현행 0~0.25%로 유지하는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간다.

또 연준은 기준금리를 실업률 6.5%와 물가상승률 2.5%의 정책 목표치에 맞춰 책정하는 기존의 방침을 유지하기로 했다.

시장에서는 최근 미국의 경제지표가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연준이 부양 기조를 완화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일부 나오면서 연준의 경제 전망에 관심이 집중됐다.

연준은 이날 성명에서 “경제 성장이 최근 수개월 동안 정체됐다”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긴장은 다소 완화됐지만 하강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국의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10월 미국 동부 해안을 강타한 허리케인 샌디 여파와 재정절벽에 대한 우려가 겹치면서 3년 반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마이너스(-) 0.1%로 전문가 예상치인 1.1%를 한참 밑돌았다. 지난해 미국의 연간 성장률은 2.2%로 추산됐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 열린 FOMC에서 기한을 정하지 않고 매달 400억 달러 규모의 모기지담보부채권(MBS)을 매입하는 내용의 QE3를 발표했다.

같은 해 12월 회의에서 매월 450억 달러의 국채를 추가 매입하기로 결정하면서 매월 85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계속 사들이고 있다.

초저금리 기조와 자산매입 등 부양책을 통해 모기지와 기업·개인의 대출 이자율을 낮춰 주택 구입과 기업의 설비 투자·채용, 개인 창업 등을 유도할 방침이다.

연준은 인플레이션 우려와 관련해서는 에너지 가격이 요동치는 등 단기적인 변동 요인은 있지만 장기 목표치를 밑돌고 있다고 진단했다. 시중 유동성 확대에 따른 인플레이션 부담이 거의 없다고 판단한 셈이다.

이날 FOMC 정책 결정 과정에서 12명의 위원 가운데 에스터 조지 캔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만이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조지 총재는 연준의 완화 정책이 금융시장의 불균형과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는 3월19~20일 열리는 FOMC에서는 경제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