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경제 부활 열쇠는…인프라 구축으로 투자 숨통 트여야

입력 2012-11-29 16: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까다로운 규제·기초 인프라 부족이 기업 투자 가로막아

부진한 인도 경제를 살리려면 인프라 구축으로 기업들의 투자 활성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29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가 보도했다.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2년 전만 해도 8%가 넘었으나 현재는 5.5% 수준이다.

젊은 인구 구조와 내수의 발전 등으로 인도는 중국을 뛰어넘을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정부 재정적자의 확대와 인플레이션, 경기 둔화 등으로 인도는 브릭스(BRICs, 중국·러시아·인도·브라질) 국가 중 처음으로 신용등급이 정크(투자부적격)등급으로 강등당할 위기에 처해 있다.

씨티그룹의 로히니 말카니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인도 경제성장률이 8% 이상에서 지난 2분기에 5.5%로 하락한 것은 투자 부문이 거의 붕괴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자본재에 대한 투자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총고정자본형성(GFCF) 증가율은 지난 2005년의 16.25%에서 지난해 7.56%로 떨어졌다.

공장 건설 등에 필요한 부지 확보의 어려움, 지나치게 긴 정부 승인과정, 인프라 미비 등이 투자 둔화의 주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HSBC의 리프 에스키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도 경제둔화는 공급 부족에서 기인한다”면서 “도로와 전력 등 기본적 인프라의 부족으로 수요를 못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인도는 중산층의 부상 등으로 소비는 안정적으로 늘고 있다”면서 “제조업체들은 정전으로 제품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인도는 지난 7월말 대규모 정전사태로 12억 인구 중 절반 이상이 전기를 쓰지 못하는 불편을 겪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