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안철수 단일화 기싸움 시작됐다

입력 2012-11-06 13: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기는 단일화 공감… 방법론선 치열한 수싸움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6일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새로운정치위원회 2차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양지웅 기자 yangdoo@)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 간 후보단일화를 위한 힘겨루기가 시작됐다. 양 후보 측은 단일화의 핵심고리인 정치혁신의 각론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어 이 간극을 얼마만큼 좁히느냐가 단일화 성사여부의 최대 관건으로 꼽힌다. 여기에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 맞선‘이기는 단일화’ 방법론을 놓고도 진통이 예상된다.

◇ 간극 좁아졌지만 정치혁신은 여전히 관건 = 양 후보의 단일화가 ‘정치야합’이라는 비난을 넘어서기 위해선 무엇보다 명분이 중요하다. 정치혁신을 그 명분으로 삼은 양 후보는 연일 혁신의지를 강조하는 한편 접점찾기에도 주력하고 있다.

문 후보는 이날 안 후보와의 단독회동을 갖기 전 정치쇄신안을 발표하며 정치혁신에 대한 간극 좁히기에 나섰다.

문 후보는 오전 선대위 새로운정치위원회 회의에서 “가치와 정책을 공유하는 단일화가 돼야 한다면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정치혁신 방안에 대해 공유하는 것”이라면서 “오늘 논의할 정치혁신방안이 앞으로 우리가 정권교체 후 만들 새 정부가 가야할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그러면서 중앙당 권한을 시·도당으로 이양, 중앙당의 기득권을 내려놓고 상향식 공천을 실시해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중앙당을 축소하고 공천권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안철수표 정치혁신안과 방향성에서 일치한다.

하지만 안 후보가 요구했던 △정당의 강제당론 폐지 △불체포특권 등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국회의원 정수 축소 △정당 국고보조금 축소 등은 향후 정치적 합의 또는 타결이 필요한 사안으로 남게 됐다.

다만 문 후보가 새정치위 가동 등 정치혁신에 강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고 안 후보도 지난 4일 “정치개혁을 하겠다는 약속을 해달라”고 압박강도를 낮춘 만큼 접점을 찾을 가능성이 그리 낮지는 않다는 전망이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새롭게 협의하고 합의하는 절차가 남기는 했지만 양 후보 간에 정치개혁안에 대한 큰 차이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타협점을 찾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가 5일 오후 광주 전남대학교 강연회에서 문재인 민주 통합당 대선 후보에게 ‘단일화 회동’을 공식 제안했다. (사진=뉴시스 제공)
◇ ‘이기는 단일화’엔 합의, 선호 방식은 극과 극 = 정치혁신에 대한 타결을 이룬다해도 단일화가 성사되기 위해선 방법 합의라는 장애물을 다시 넘어야 한다. 안 후보의 전격적인 회동 제안으로 단일화 협상 스케줄이 닷새 정도 앞당겨졌지만 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방법도 다양해졌다.

문 후보는 지난 4일 “제게 유리한 시기와 방법을 고집하지 않겠다”고 했고, 안 후보 측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은 6일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밝힌 상태다.

그럼에도 실제 협상 중에서는 단일화 방식을 놓고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조직력·동원력이 있는 문 후보 측은 여전히 모바일투표 등 국민참여경선을 선호하고 있다. 안 후보는 여론조사 방식을 양보하기에는 부담이 너무 크다. 안 후보가 5일 단일화 3원칙 중 ‘이기는 단일화’를 가장 앞에 둔 것도 이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인기투표 우려가 큰 모바일투표 등 국민참여경선보다는 박 후보와의 양자 대결에서 경쟁력 우위를 보이는 여론조사를 적극 주장할 가능성이 크다.

단일화 방법을 두고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갈리고 있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모델대로 공신력 있는 2~3 곳의 여론조사기관 조사결과로 결정하는 것이 촉박한 시간에도 맞고 선거법 위반 가능성을 방지하는 방법이란 주장과 국민참여를 더 높여야 단일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공존한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의 30% 선거인단, 70% 여론조사 정도면 모를까 경선은 안 된다”면서 “안 후보가 정당 후보가 아니어서 선거법 위반 가능성이 있다. 여론조사 방식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지지율 격차에 따라 방식이 달라질 수 있지만 동원과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투표를 제외한 나머지 방식을 지지율 높은 후보가 받아들이면 된다”고 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여론조사를 핵심으로 양자토론 후 국민패널 평가, 전문가 평가 등 보다 다양하게 프로세스를 진행한 뒤 그 결과를 놓고 정치적 협상을 통해 한쪽 손을 들어주면 가장 아름다운 단일화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내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