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가 발생한지 한 달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뚜렷한 해결 방안은 커녕 책임 회피용 변명들만 들려오고 있다.
이 와중에 국정감사 시즌이 찾아왔다. 이달 5일부터 24일까지 실시되는 국감은 국정운영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 입법활동에 반영하기 위한 자료 및 정보수집에 목적을 두고 있다.
산업단지공단의 경우 현장국감 일정이 예정됐다. 말 그래도 기업을 직접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취지로 마련된 것. 이달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계획된 산단공의 현장국감 장소로는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과 산단 호남권 본부로 각각 결정됐다.
그리고 국감일정 시작 17일 전에 구미 불산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관련 기관의 늦장대응으로 질타의 목소리가 이어졌고, 결국 지난 9일 중소기업청 국감에서 구미 사태 지역도 현장 국감 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여야 간사 간 합의가 있어야지만 추진될 수 있는 문제였다.
그러나 결국 산단공 국감 일정에 구미지역은 제외됐다. “한 달 전부터 잡아놓은 일정을 변경하기 어렵다”는 게 여상규 새누리당 의원 측의 설명이었다. 납득할 정도로 충분한 이유가 아니었다.
현장 국감이 예정된 것을 알고 있는 각 지역에서도 많은 것들을 준비했을텐데 이를 외면할 수 없다는 설명이었다. 그렇다고 해도 구미 불산 사태를 그저 ‘서면용 국감’ 이슈로 취급하는 판단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구미사태 초기 늑장대응과 부실 조치로 질타를 받은 산단공은 현장 국감이 진행되는 16일에 김용 세계은행 총재의 구로산업단지 방문일정을 잡았다. 당초 산단공 이사장 참여도 거론됐었으나 여론을 의식해 취소했다. 한국인 최초 세계은행 총재 자리에 오른 김 총재의 ‘영접’도 중요하지만 유연한 조율이 아쉬운 대목이다.
근로자 한 명의 목소리가 중요한 시점이다. 더욱이 상처를 받은 곳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굳이’현장까지 갈 필요없다는 안이한 자세에 다시 한 번 물음표를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