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지표 실망…연준의 QE3 효과 언제?

입력 2012-09-21 06: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주 실업수당 청구, 예상 웃돌아…대선 불확실성 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고용시장 안정을 위해 3차 양적완화(QE3)를 발표했음에도 실업자수는 예상을 웃돌았다.

미국 노동부는 20일(현지시간)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38만2000건으로 전주 대비 3000건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전문가 예상치 37만5000명은 웃돌았다.

노동부는 시카고에서 2만9000명의 교사가 파업에 나선 것은 수치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 전주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늘었던 이유가 미국 남부를 덮친 열대성 태풍 ‘아이작’의 영향으로 9000명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자가 발생했기 때문인 점을 고려하면 지난주 수치는 시장을 실망시키기에 충분했다.

변동성이 작아 노동 시장 흐름을 더 잘 측정할 수 있는 4주 평균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37만7750건으로 전주 대비 2000건 증가했다. 이는 6월 이래 최고치였고 5주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셈이다.

지속적으로 실업수당을 받는 국민은 8일 현재 327만명으로 전주 대비 3만2000명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발표된 고용 지표는 8월 이후 미국 노동 시장이 뚜렷하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음을 뒷받침한다고 지적했다.

연준은 지난 주 매월 400억 달러의 모기지담보부채권(MBS)을 무기한으로 매입해 시중 유동성을 확대하는 3차 양적완화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기준금리는 0~0.25%로 유지하고 기한을 6개월 이상 연장하는 공격적인 경기 진작책을 발표했다.

시중에 돈을 풀고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감으로써 기업들이 자금 부족이나 이자 상승에 대한 부담 없이 설비에 투자하고 직원을 고용하라고 유도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연준 발표 이후 처음 발표된 고용지표를 보면 시장에 아직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8월 실업률은 전월보다 0.2%포인트 떨어져 8.1%를 기록했다.

7월에 기업과 고용주들이 14만1000명을 고용했지만 지난달에는 9만6000개를 추가하는데 그쳤으나 구직 포기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미국 실업률은 1930년대 대공황 이래 최악의 상황으로 무려 43개월째 8% 밑으로 내려가지 않고 있다.

21일 발표되는 지난달 주별 실업률은 34곳이 내려간 반면 19곳은 올라간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기업과 고용주들이 연준의 경기 부양책보다 11월 대통령 선거의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내년 세금 인상 및 정부 지출 감소 등을 우려하면서 고용을 꺼리는 것으로 분석했다.

샘 코핀 UBS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은 대선 결과는 물론 연말로 예정된 재정 적자 감축을 위한 논쟁과 갈등에 민감하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취한 조치가 성장에 도움은 되겠지만 올해는 아니고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