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인플루엔자·결핵 등 8개 감염병 집중투자

입력 2012-09-07 10: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종 인플루엔자, 슈퍼박테리아, 결핵, 에이즈(AIDS) 등 8대 감염병 분야에서 2040년까지 세계 최고 기술을 확보하려는 범정부 차원의 연구개발(R&D)이 본격화한다.

7일 정부는 과천청사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2012~2016년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안을 확정했다.

이는 기후변화 등으로 감염병 위험이 커진 상황에서 대유행이 발생하면 국가 경제에 위기를 가져오고 국가신인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우리나라의 판데믹(대유행) 위기지수는 영국의 위기관리 자문기관인 메이플크로프트로부터 ‘매우 위험’ 등급으로 평가됐다.

질병관리본부는 결핵 발생으로 연간 8000억원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출된다고 보고 있으며 LG경제연구원은 국내 AI가 만연할 경우 8조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감염병 R&D 투자는 2010년 기준으로 미국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우선 정부는 1단계인 2016년까지 8대 분야에 대해 집중투자한다.

법정 감염병 75종 114개 중에 기술개발이 시급한 8가지는 △신종 인플루엔자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 △결핵 △인수공통감염병(브루셀라, 공수병 등) △만성감염질환(AIDS, 간염) △기후변화 관련 감염병 △생물테러 △원인불명 감염병 등이다.

병원내 감염예방기술, 질병진단용 바이오칩이나 인체영상기술 개발, 에이즈 완치기술 등이 중점기술로 개발될 전망이다.

발생-인지-대응-치료에 걸친 모든 주기에 걸친 단계별 연구를 현안 질병 중심에서 통합적인 대응 구조로 전환한다. 동물감염실험 등 생물안전연구 인프라를 확충하고 공동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국내 결핵과 B형간염 발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많다. 생물테러 위협 병원체에 대한 고감도 실시간 탐지기술과 백신ㆍ치료제 개발도 필요하다고 정부는 판단했다.

이를 위해 2010년 질병관리본부장을 위원장으로 출범한 ‘범부처 감염병 R&D 추진위원회’의 실효성을 높여 부처 간 협력과 조정을 활성화한다.

기존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외에 환경부가 기후변화나 인수공통 감염병 대응을 강화하고자 추가로 참여한다. 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행정안전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의 위원회 참여도 검토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