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대기업 내부거래 규모 200조원 육박

입력 2012-08-30 13: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기업의 내부거래 규모가 200조원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가 30일 발표한 대기업집단 내부거래 현황에 따르면 46개 대기업집단 매출액(1407조원) 가운데 계열사에 대한 매출액(186조원) 비중은 작년 말 기준 13.2%에 달했다. 이는 2010년 말(12.0%)보다 높아진 수치다.

특히, 비상장사(1136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24.5%로 상장사(237개ㆍ8.6%)의 3배에 달했다. 비상장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전년 말보다 1.9%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38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13.6%로 총수가 없는 집단(8개)의 11.1%보다 더 높았다.

총수가 있는 집단 중 상위 10개 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14.5%로 전년 말(13.2%)보다 높아졌다. 내부거래 금액은 139조원으로 30조원이나 급증했다.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집단은 STX(27.6%), SK(22.1%), 현대자동차(20.7%) 순이었다.

내부거래 금액이 많은 집단은 삼성(35조원), SK(34조원), 현대차(32조원), LG(15조원), 포스코(14조9000억원)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 집단의 내부거래 금액 합계는 132조원으로 46개 전체 집단의 70.9%를 차지했다. 이는 5개 집단 매출액이 전체 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중(54.9%)보다 높은 수치다.

대기업집단 계열사 중 2세 지분율이 50% 이상인 경우 내부거래 비중은 56.3%에 달했다. 이들 계열사는 시스템통합(SI), 부동산, 광고대행, 물류 등 `일감 몰아주기' 행태로 비판받았던 업종에 많았다.

내부거래 때 수의계약으로 거래 상대방을 선정한 사례는 89.7%에 달했다. 특히 SI, 물류, 광고 등의 수의계약 비중은 91.8%에 달해 경쟁입찰 비중이 10%에도 못 미쳤다.

내부거래 때 대금결제 방식은 절반 이상(54.5%) 현금을 사용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100% 출자, 수직계열화 등 부득이한 이유로 내부거래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감 몰아주기 등 불합리한 거래 관행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수의계약으로 거래 상대방을 선정하는 관행도 여전해 비계열 독립기업의 성장 기회를 제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